![]() |
▲전북 정읍 동학농민혁명 기념관 앞에 조성된 조형물 모습. /전북도청 제공 |
이번 주제는 “동학혁명 유족 수당 지급 놓고 갑론을박 ‘후끈’”입니다.
최근 전북특별자치도가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을 대상으로 수당 지급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져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동학농민혁명은 1894년 전봉준을 중심으로 반봉건·반외세·반부패 운동으로 전개됐습니다.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이후 갑오개혁과 3·1운동, 4·19혁명, 5·18민주화운동 등에 영향을 미치며 한국 민주주의의 뿌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는 내년부터 도내 거주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에게 명예회복 차원에서 수당을 지급할 계획이라며 매월 10만원 씩 지급할지, 연 단위로 30만~50만원을 지급할지 검토 중이라고 지난달 25일 밝혔습니다.
이에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동학혁명이 독립운동이 모태가 되기 때문에 유족 수당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세금 퍼주는 악성 포퓰리즘”, “그럼 임진왜란, 병자호란 수당도 줘라”는 등 비판적인 반응이 나왔습니다.
전북도가 추진하는 동학혁명 유족 수당 지급 방침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찬반 논쟁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