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이민지 기자 사이버폭력 피해학생의 자살‧자해 충동 경험률이 47.5%로 전체 학교폭력 피해 학생에 비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2일 푸른나무재단은 ‘2025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 초‧중‧고교생 1만2,00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결과, 학교폭력 피해 유형 가운데 사이버폭력 비율은 17%로, 지난해(15.1%) 대비 소폭 증가했다. 사이버폭력 피해학생의 자살‧자해 충동 경험률은 47.5%로, 전체 학교 폭력 피해학생 평균(38%)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가해학생의 81.4%는 가해 후 플랫폼에서 아무런 제재도 받지 않았다고 응답했으며, 교사로부터 지도를 받았다는 응답 역시 20.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청소년의 96%는 SNS 사용 규제 강화에 동의하며 사이버폭력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폭력이 증가하며, 사이버성폭력 또한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증가했다. 사이버성폭력 피해율은 13.3%로, 2021년 2.8% 대비 4.8배 증가했다. 사이버성폭력 피해 중 24.7%는 딥페이크가 악용된 사례로, 기술 기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성폭력이 현실화 되고 있는 추세다.
디지털성폭력 피해 학생은 일반 성폭력 피해 학생에 비해 자살‧자해 충동 경험률이 높았다. 사이버성폭력 피해학생의 자살‧자해 충동 경험률은 65.6%로, 성폭력 피해학생 44.8%에 비해 20.8% 많았다.
학교폭력 피해학생의 64.3%는 PTSD(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을 1개 이상 경험했다. 피해 경험 후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는 ‘마음의 상처 치유‧회복‧보호’가 21.5%로 1순위를 차지했다. △가해학생의 진심어린 반성‧사과(20.5%) △가해학생에 대한 처벌‧조치(16.8%) △주변 어른들(선생님, 부모님, 경찰 등)이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것(8.7%)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한편 푸른나무재단은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학교폭력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한 ‘대선 후보 10대 정책 과제’를 주요 대선 후보들에게 제안했다. 이번 정책 제안은 △사이버폭력에 대한 적극 대응(플랫폼 책임 강화 및 AI 기반 감시 체계 구축) △피해학생 보호 및 회복 지원 확대 △사안처리의 교육적 전환과 제도 개선 △예방교육의 실효성 제고 △비폭력 사회문화 조성을 위한 환경 구축 등 5개 핵심 영역, 10대 과제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