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부터 MA까지…벤처 생태계 활성화 해법 목소리↑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벤처기업이 저성장 시대 경제 성장을 견인한 주역으로 떠오르며 창업·벤처 생태계 재편 필요성이 제기됐다.


22일 한국중소기업학회(학회장 진병채)는 서울 여의도에서 벤처기업협회와 중소기업중앙회 공동으로 '제1회 한국중소기업학회 혁신벤처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역동적 창업·벤처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 또 국내 벤처생태계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진병채 학회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벤처기업은 과거 30년간 국가 경제 성장률을 상회하는 성장을 해 오면서 저성장 시대 경제 성장을 주도했다"라며 "한국 경제 구조를 전통 제조업 중심에서 지식 집약형 산업으로 전환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라고 말했다.

이어 "재도약하는 국내 경제를 위해 스톡옵션제도 정비와 민간자금 유입 그리고 벤처기업 인수합병(M&A)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축사에서 "경제성장 엔진이 멈춰 선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해 소수 대기업 중심 산업정책을 중소·벤처기업 중심 생태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추 본부장은 이를 위해 최우선 과제로 "인공지능(AI)을 제조·유통·물류·서비스업 등에 활용해 중소·벤처기업 생산성을 올려야 한다"라며 "AI를 제조업에 확대 적용해 중소제조업 부흥을 일으키고, 제조 강국의 명맥을 유지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이날 포럼은 △스타트업 다르게 일하기(배종훈 서울대 교수) △한국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플립 방안(박성혁 카이스트 교수) △신성장 동력원으로서 벤처기업(진병채 카이스트 교수) 등의 주제로 진행됐다.

배 교수는 "창업 생태계 경쟁 기반 효율화가 요구되고 있다"라며 "가치사슬 수준의 아이디어 발굴, 컴퓨터 연산 지원 서비스가 포함된 공유 데이터 센터의 구축 등이 대안이 될 수 있다"라고 진단했다.

박 교수는 스타트업 해외 진출 방안 중 하나인 플립(flip, 본사해외이전) 개념과 구체적 방법론을 설명했다. 특히 '임팩트에이아이' 최신 사례를 통해 국내 스타트업이 기업을 매각하지 않고 본사를 해외 이전시키는 방안(이연플립, deferred flip)을 소개했다.

진 교수는 "대기업 지방 유치는 지역 생산성 향상과 양질의 일자리 제공으로 주민 소득 향상에 일조한다"라며 "지역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 창업생태계 확산 측면에서 한계를 보여주고 있어 벤처기업 육성이 지역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 기술혁신을 견인한다"라고 첨언했다.

마지막으로 이정민 벤처기업협회 사무총장은 "대한민국 청년과 미래를 위해 벤처정책은 국가 경제정책의 최우선 아젠다가 돼야 한다"라며 "이를 위해서 68개 법정기금의 벤처·스타트업 투자 의무화와 근로시간 제도 개편 등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AI부터 MA까지…벤처 생태계 활성화 해법 목소리↑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