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SK텔레콤(017670) 해킹 사고를 계기로 이동통신 3사의 불법스팸 대응 및 이용자 보호 조치 전반에 대한 점검에 나섰다. 특히 디지털 취약계층 보호와 상담 서비스 강화 등 실질적 조치를 주문했다.

방통위는 이진숙 위원장이 21일 서울 송파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서울청사에서 SK텔레콤 사이버 침해사고 이후 관련 통신 3사의 불법스팸 대응상황과 현황 등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날 점검에는 이상중 KISA 원장, 류탁기 SK텔레콤 부사장, 임현규 KT(030200) 부사장, 이철훈 LG유플러스(032640) 부사장이 참석했다.
이번 점검은 해킹 사고로 인한 국민 불안을 악용한 스팸문자, 이른바 '미끼문자' 확산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통신 3사의 대응 수준과 이용자 보호 노력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차원에서 마련됐다.
이 위원장은 "최근 스팸 신고는 감소세를 보이지만, 해킹사고를 기회 삼아 불안 마케팅을 시도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이통 3사는 불법스팸 차단뿐 아니라 디지털 취약계층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상담 강화에 힘써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SK텔레콤에 대해서는 고령층을 위한 유심(USIM) 교체 방문 서비스와 고객센터 응대 강화 등 실질적 보호조치를 주문하고, 상담원 및 유통점 직원들의 현장 고충 해소에도 관심을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한편 방통위는 SK텔레콤 침해사고 이후 △미끼문자 사기 피해 주의보 발령 △취약계층 대상 예방 교육 강화 △유통점 및 본인확인 서비스 현장점검 등을 통해 국민 불안 해소와 2차 피해 방지에 주력하고 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