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제조업 취업자 비중이 올해 초 15.5%로 떨어지면서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 관세 부가 조치에 따른 충격이 아직 본격화하지 않은 상황이라, 고용지표는 앞으로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다.
18일 국가통계포털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제조업 취업자는 월평균 439만5000명이다.
전체 취업자 중 제조업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5.5%다. 이는 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으로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해마다 낮아지고 있다. 2023년 15.7%를 기록해 처음으로 16%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해에도 15.6%를 기록해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는 취업자 비중이 △1월 15.8% △2월 15.6% △3월 15.4% △4월 15.2% 순으로 매월 하락하고 있다.
취업자 감소 원인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제조업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기업들이 대내외 불활실성으로 인해 신규 채용을 미룬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 올해 제조업 취업자 가운데 20대(20∼29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10.6%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이는 정년을 넘긴 60대(13.2%)보다도 낮은 수치다.
문제는 향후 미국 관세 부가 조치로 제조업 전반에 한파가 예정돼 있다는 점이다.
경기가 좋은 상황에서도 고용이 부진한데, 관세 충격이 본격화하면, 고용 지표는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미 국내외 주요 기관들은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하향 조정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1월 2.0%에서 지난달 1.0%로 반토막 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