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 60㎡ 이하 '스몰 럭셔리' 수도권 청약 강세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수도권 청약 시장 내 소형 평면 전성시대를 이어지는 분위기다. 분양 시장에서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타입 경쟁률이 2년 연속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고분양가 시대에 '내 집 마련 부담'이 커지자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소형 선호도가 높아졌으며, 3인 이하 가구 보편화와 함께 내부 특화 설계까지 더해지면서 인기가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인포가 부동산R114 렙스 면적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60㎡ 이하 소형타입 1순위 청약 경쟁률은 △2024년 39.4대 1 △2025년(1~4월) 14.2대 1로, 2년 연속 가장 높았다. 반면 2020년부터 청약시장을 주도한 85㎡ 초과 타입의 경우 2020년 103.6대 1에서 올해 4.5대 1로 크게 줄었다. 

이처럼 소형 타입 인기가 높아진 배경으로 '가파르게 오른 분양가' 때문으로 분석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3월 수도권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3.3㎡당 2837만원)는 지난해와 비교해 10.4%나 상승했다. 이에 따라 84㎡과 59㎡를 계산할 경우 총액 기준 약 2억8400만원가량 차이가 발생한다. 

더군다나 중대형으로 갈수록 대출 규제인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제한 대상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자금 마련에서도 소형 타입이 유리한 측면이 있다.

인구구조 변화 역시 소형 타입 선호현상을 이끄는 요인이다. 

통계청이 2023년 발표한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전국 평균 가구원수는 2.2명으로 줄었다. 특히 3인 이하 가구 비율은 무려 전체 83.3%에 달한다. 큰 집보다 실용성을 앞세운 주거 형태가 인기를 얻고 있는 셈이다.

소형 아파트 평면 설계도 달라졌다. '협소하고, 불편하다'는 인식이 강했던 기존 소형 평형과 달리 최근 건설사들은 △방 3개 △안방 드레스룸 등을 넣은 효율적 구조가 보편화됐다. 일부의 경우 4베이 판상형 구조를 통해 공간 활용성도 극대화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3인 이하 가구 증가 및 스트레스 DRS 3단계 등 대출 규제 강화 요인이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수도권 주택 시장에서 소형 평형 우세는 상당 기간 계속될 것"이라며 "집 크기보다 공간 활용성과 기능적 효율성을 따지는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분양을 앞둔 곳에서도 59㎡ 타입을 갖춘 아파트에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우선 금호건설(002990)이 오산세교2지구 A12블록에서 민간참여 공공분양 '오산 세교 아테라'를 오는 6월 선보인다. 단지는 59㎡ 단일 면적 433가구 규모로 공급된다. 

더군다나 금호건설 오산시 '1호 공급'이면서 주거 브랜드 '아테라'가 적용되는 만큼 우수한 상품 가치도 돋보인다. 

남향 위주로 배치해 채광이 우수하고, 4베이(일부 세대) 특화 설계를 적용해 우수한 채광과 통풍은 물론 넓은 개방감도 만끽할 수 있다. 현관창고 등 곳곳에 수납공간도 마련해 공간활용도도 극대화했다.

오산 세교 아테라 분양 관계자는 "해당 단지는 콤팩트한 59㎡ 실속형 타입으로, 드레스룸·현관 창고·알파룸 등 수납 특화는 물론 타입에 따라 4베이 판상형 설계를 제공해 공간감을 확보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오산세교2지구만의 편리한 교통망과 생활 인프라, 그리고 금호건설 '아테라' 프리미엄까지 더해져 실거주·투자 수요 모두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에서는 서초구 반포동에서 공급 예정인 삼성물산(028260) '래미안 트리니원'에서 59㎡ 타입 456가구가 일반분양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이외에도 인천 부평구 산곡역(7호선) 역세권에는 효성중공업(298040)이 시공하는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이 분양에 돌입했다. 단지 일반분양 물량은 △39㎡ 52가구 △59㎡ 705가구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전용 60㎡ 이하 '스몰 럭셔리' 수도권 청약 강세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