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김문수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가 직접 윤석열 전 대통령의 출당 조치를 두고 선을 그었지만, 당내에서 자진 탈당을 권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출당보다는 윤 전 대통령이 직접 탈당할 경우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의견으로 풀이된다.
15일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 절단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대해 이번주 안에 입장을 발표할 것을 암시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날 YTN 라디오에 출연해 "많은 국민이 이번에 탄핵의 강을 국민의힘이 어떻게 넘어가느냐에 관심을 두실 것 같다"며 "탄핵을 찬성하는 분도 반대하는 분도 저마다의 진정성과 애국심으로 판단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탄핵 찬성, 반대를 떠나서 '탄핵은 정당했다'라는 것은 많은 국민이 인정하는 것 아니겠나"라며 "그렇다면 이것을 넘어가기 위한 과정들을 이번 주 안에 다 끝내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 전 대통령의) 출당, 탈당에 (대해서) 보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과거 대통령과의 관계 아닐까"라며 "건강한 당정 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은 정치권의 숙명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과거 문재인 정부 같은 경우엔 민주당이 '청와대 출장소'라고 비판도 받았었고, 지난 윤석열 정부에서도 국민의힘이 비슷한 비판을 받아왔다"며 "그래서 이번에 건강한 여당의 모델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갈등이 일단락된 이후 윤 전 대통령이 직접적으로 김문수 대선 후보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자, 국민의힘 일각에서는 날선 반응을 내놨다. 파면 후 비상계엄 선포 관련 재판을 받고 있음에도 당에 영향력을 끼치려 한다는 이유에서다.
한동훈 전 대표의 경우 지난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 출당으로 윤 전 대통령 부부와 당이 절연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도 파면 후 국민의힘 전신인 자유한국당으로부터 출당 조치를 받은 바 있다.
이같은 요구에 김문수 후보는 선을 긋는 모습을 보였다. 김 후보는 대구·경북 선대위 출정식을 마친 뒤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탈당하느냐, 안 하느냐 하는 것은 본인의 뜻"이라며 "우리 당이 윤 전 대통령 보고 '탈당해라' '하지 마라' 이렇게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이틀 만에 당 내부에서는 또다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출당이 아닌 '자진 탈당'을 권고하자는 것. 출당을 강행할 경우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등을 돌릴 것을 우려한 의견으로 풀이된다.
이정현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이날 "당의 미래와 보수의 재건을 위해 오늘 중으로 윤 전 대통령에게 자진 탈당을 권고할 것을 제안한다"며 "국민의 90%가 잘못했다고 인식하고 있는 계엄령 선포에 대해서도 당의 책임을 표명하고 국민께 공식 사과할 것을 제안한다"고 했다.
이 선대위원장은 전날에도 라디오에서 "정당의 존립이 걸려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어떤 사람을 막론하고 선거에 도움이 되지 않거나 크게 부담을 준다고 하면 본인이 결단을 내려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좋고 나쁘고를 떠나서 조직에 대한 도리"라며 "윤 전 대통령은 본인보다 공적인 것에 기준을 두기 때문에, 본인의 문제가 대선의 쟁점이 된다고 하면 더 이상 (결정을) 미루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