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김경현 기자] KBO는 올 시즌을 앞두고 피치클락 정식 도입, ABS 존 하향 조정, 연장전 이닝 축소, 1루 3피트 주로 확대, 퓨처스리그 체크스윙 비디오판독 시범 운영 등 경기 흐름을 개선하고, 보다 박진감 있는 리그 운영을 위한 다양한 규정 변화를 시행했다.
각 구단이 평균 37경기씩 치르며 정규시즌이 1/4 정도 진행된 현재, 해당 규정과 제도들은 시즌 초반 안정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불필요한 경기 시간의 축소와 경기 운영의 효율성 향상 등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 피치클락 정식 도입에 따른 경기 시간 감소 효과
2025시즌부터 정식 도입된 피치클락은 불필요한 경기 시간 단축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5월 7일 기준, 정규이닝 평균 경기 시간은 2시간 57분으로, 전년도 시즌 최종 경기 시간 대비 13분 단축됐다.
특히 3시간 30분 이상 소요된 경기는 전년 동기간 36경기에서 13경기로 절반 이상 감소했으며, 반대로 2시간 30분 미만 경기는 7경기에서 15경기로 증가해, 피치클락이 경기 운영 효율성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치클락 관련 세부 항목에서도 선수단의 적극적인 동참을 통한 규정 적응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피치클락 위반은 경기당 평균 0.4회로 2경기당 1번 이내로 발생하고 있다. 전체 투수판 이탈(견제, 견제구 던지는 시늉, 발 빼는 경우 등) 중, 한 타석 내 3회를 초과하여 이탈했던 비중은 전체의 4.3%로 낮았으며, 한 타석 내 최대 2회로 제한되는 타자 타임 요청 횟수를 위반한 사례는 없었다. 전체 타자 타임 요청 중 98%가 한 타석 내 1회로 규정에 충실하게 이뤄졌다.

▲ ABS 스트라이크존 하향 조정 관련 변화
KBO는 2025시즌을 앞두고 경기지표, 판정 데이터 분석과 선수단 의견 수렴을 통해 ABS 스트라이크 존을 상단과 하단의 적용 기준을 각각 0.6% 포인트씩 하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상단은 타자 신장의 55.75%, 하단은 27.04%로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신장 180cm 선수 기준으로 존이 지난 시즌보다 약 1cm 하향 조정된 것이다. 올해 KBO 리그에서 적용되는 하단 기준은 2025 MLB 스프링캠프에서 시범 운영된 ABS 챌린지의 하단 기준과 큰 차이가 없다. MLB 역시 KBO 리그와 마찬가지로 타자 신장을 기준으로 상단 53.5%, 하단 27%의 스트라이크 존을 적용해 ABS 챌린지를 운영한 바 있다.
조정된 ABS 존에 따른 판정 변화를 분석한 결과, 현재까지 진행된 185경기에서 총 30,227개의 ABS 판정된 투구 중 볼 판정은 20,293회(약 67.1%), 스트라이크 판정은 9,934회(약 32.9%)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와 유사한 볼-스트라이크 비율이며, 지난해 존 기준 상단에서 스트라이크였던 공이 올해 존 변화로 볼로 판정된 사례는 164회, 하단에서 볼이었던 공이 스트라이크로 판정된 사례는 202회로 확인되어 경기당 약 2구의 판정에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된다.
KBO는 ABS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을 통해 현장과 전문가 의견을 반영, 공정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개선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할 계획이다.

▲ 연장전 이닝 축소 현황
올 시즌부터 연장전이 기존 12회에서 11회로 축소되며, 연장을 포함한 평균 경기 시간은 3시간 0분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시즌 최종 시간 대비 12분 감소한 수치로, 경기 종료 시간을 앞당기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연장에 돌입한 12경기 중 3경기(25%)가 무승부로 종료되었고 9경기(75%)는 11회 내에 종료되었으며 연장 이닝 축소로 체력 소모 부담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며 각 팀의 투수 운용 전략도 다양해졌다.
▲ 1루 3피트 주로 확대 관련
올 시즌부터 1루 3피트 주루 라인이 내야 흙 구간까지 확대되며, 타자의 주루 경로가 더욱 명확해졌다. 이에 따라 주루 플레이의 안정성과 판정의 일관성이 함께 향상됐다. 판정 기준이 명확해짐에 따라 선수단의 수용성도 높아졌다는 반응이다.
▲ 퓨처스리그 체크스윙 판독 시범운영
퓨처스리그에서는 체크스윙 판독 시스템이 시범 운영 중이며, 5월 7일 기준 총 103경기에서 54건의 판독 요청이 있었고 이 중 17건이 번복돼 번복률은 31.5%로 집계됐다. KBO는 "카메라 각도, 설치 위치, 판정 소요 시간, 경계 판정 빈도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 중이며, 향후 KBO 리그 정식 도입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
KBO는 "시즌 중 심판위원회·기록위원회 합동회의 및 규칙위원회 정기회의를 통해 경기 운영 및 규정 적용 현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변화된 규정이 현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팬들에게 더욱 재미있고 박진감 넘치는 경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리그 운영과 제도 개선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