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언더2연합 아시아·태평양 지역 의장 자격으로 아시아 지방정부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4대 방안을 제시했다.

김태흠 지사는 8일 싱가포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언더2연합 아시아 기후행동 정상회의'에 참석해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으로, 글로벌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이라며 지방정부의 역할 강화를 역설했다.
이날 회의에는 블룸버그·글로벌 메탄 허브·국제금융공사·클라이밋그룹 등 국제 전문가 20여 명도 참석해 기후위기 대응의 국제적 연대를 다졌다.
이번 정상회의는 아시아 지방정부 대표와 기후 전문가들이 모여 넷제로 달성을 위한 과제와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국제행사로, △기후 대응 전략 △투자 방안 △기술혁신 등을 주요 의제로 다뤘다.
김 지사는 주제연설에서 "충남은 국가보다 5년 앞선 2045년 탄소중립을 선언했다"며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절반이 몰린 지역으로,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가장 무거운 책임을 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2035년까지 사용 전력의 90%, 2045년까지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것"이라며 "경제 위축과 일자리 감소에 대비한 10조원 규모의 기금 조성과 대체 산업 육성을 위한 특별법도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특히, 아시아 지방정부의 탄소중립 추진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4대 전략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아시아 지방정부의 탄소중립 역할 강화를 위해 △지방정부 간 협력 확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설정 시 지방정부 역할 반영 △지방정부 주도 자체 기후기금 조성 △아시아 지방정부 글로벌 위상 격상 등을 제안했다.
그는 "기후위기 대응은 각국 정책의 공유와 협력 체계 강화가 핵심이며, 지방정부는 단순한 보조자가 아닌 실행의 주체"라며 "NDC 달성도 국가 혼자서는 어렵기에 지방정부와의 실질적인 로드맵 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또 "기후 대응의 가장 확실한 정부 의지는 재정"이라며 자체 기후기금 조성을 통해 지방정부가 실행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그는 "이번 회의가 아시아뿐 아니라 전 세계의 기후 목표와 방향을 비추는 '등대'가 되길 바란다"며 "탄소중립 아시아 실현을 위해 지혜와 의지를 모아 나가자"고 당부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