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부품도 25% 관세 발효…한국 332개 품목 수출 감소 '우려'

마이데일리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현대차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미국 정부가 예고한 '자동차부품 25% 관세 부과' 조치가 3일 발효되는 가운데 한국의 대미 자동차부품 수출이 직격탄을 받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지난달 3일부터 자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이날부터는 자동차부품에 대해서도 25% 관세를 매긴다.

무역협회는 이번 조치의 대상이 되는 자동차부품 품목 수가 미국무역대표부(USTR)의 HTS(국제상품분류체계) 10단위 기준으로 332개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미국의 자동차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의 비중은 지난해 기준 6.4%다. 금액 기준으로는 135억 달러(약 19조원)에 달한다.

세부 품목별로는 ▲배터리·모터 등 전동화 부품(30억달러·한국 부품 비중 8.4%) ▲새시 및 구동축 부품(30억달러·6.0%) ▲자동차용 전자·전기 부품(25억달러·4.4%) ▲차체 및 부품(23억달러·8.3%) ▲엔진 및 부품(13억달러·6.0%) ▲자동차용 타이어 및 튜브(8억달러·5.2%) 등이다.

미국은 한국의 최대 자동차부품 수출 시장이다. 한국의 자동차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지난 2020년 29.5%에서 지난해 36.5%로 늘었고, 미국의 대한국 수입 비중은 같은 기간 6.6%에서 7.3%로 소폭 증가했다.

무역협회는 "이번 관세 추가 조치에도 안전성·내구도가 중요한 자동차 특성상 미국 내 수요기업이 단기적으로 소재·부품 거래선을 (한국에서 다른 나라로) 변경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관세 인상분이 최종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면서 이에 따른 수요 위축 및 수출 감소 우려는 있다"고 전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車 부품도 25% 관세 발효…한국 332개 품목 수출 감소 '우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