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금융위원회가 추가경정 예산을 반영해 4조원 규모의 관세대응 저리지원 특별프로그램을 신설한다.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돼 확정된 추경 예산은 올해 본예산 4조1838억원의 9.2% 수준인 3865억원 규모다. 이 추경예산을 바탕으로 금융위는 통상 리스크 대응과 민생경제 회복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2일 금융위는 추경 예산 1천억원을 반영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유동성 위기에 처한 기업을 대상으로 4조원 규모의 관세대응 저리지원 특별프로그램을 산업은행에 신설한다고 밝혔다.
관세 피해 업종 전반에 저리 운영자금 3조원, 반도체 외 바이오·2차전지·미래차 등 첨단산업 설비 투자에 1조원 규모의 저리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대출금리는 각각 최저 3%대와 최저 2%대 국고채 수준으로 통상 산업은행 대출 대비 1%포인트(p)가량 낮다.
반도체 전 분야에 걸쳐 기업의 신규투자에 저리자금을 지원하는 '반도체 설비투자지원 특별프로그램'의 공급 규모도 기존 17조원에서 3조원 증가한 20조원으로 확대된다. 또 추경으로 500억원을 출자해 최소 5천억원 이상의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신규 조성한다.
취약 서민계층을 위한 금융지원도 확대해 '최저신용자 한시 특례보증' 사업 지원에 재정 365억원이 보강돼 공급 규모가 1700억원에서 2800억원으로 늘어난다. 저소득 대학생·청년을 위한 '햇살론 유스' 프로그램에는 복권기금 보증재원을 150억원 증액해 올해 공급규모가 2천억원에서 3천억원으로 확대한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