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지난 1일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잇따라 사퇴하면서 국정 서열 4위인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일 0시부터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이어받았다.

이 대행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로 첫 출근길에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라며 "공정선거관리에 중점을 두고 안정적으로 국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안보·통상 분야 공백 우려에 대해서 이 대행은 "국회와 충분히 소통하고 국무위원들과 잘 논의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날 이 대행은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고 각 부처와 공직자들에게 "마지막까지 국가와 국민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달라"며 "외교·안보·국방·경제 어느 분야에서든 한 치의 빈틈도 없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모든 부처와 기관이 국가 안위의 최후의 보루라는 마음을 가지면서도 국익을 최우선으로 해 '원팀'이 되어야 한다는 정신 아래 마지막까지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의대 교육 정상화와 AI디지털교과서 등 쌓여있는 현안에 대통령 권한대행 업무까지 겹친 교육부는 "책임감이 막중하다"며 애써 담담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교육부는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면서 이 업무를 뒷받침할 별도의 지원단 구성안을 마련 중이다. 단 인력이 충원될지는 미지수다.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의대 교육 정상화는 아직 해결이 되지 않은 채 의대생들의 대규모 유급이 임박한 상태다. 올해부터 전면 도입된 AI디지털교과서와 고교학점제 역시 학교 현장 안착이라는 과제가 남아있다. 최근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교권 침해와 학교폭력 업무 역시 교육부 역할이다. 여기에 통상, 외교, 안보 등 비교적 생소한 업무까지 맡아야 한다. 앞서 권한대행 업무를 맡았던 기획재정부보다 교육부 규모도 작다. 교육부 현원은 694명으로 기획재정부 1058명보다 적다.
이날 대통령경호처는 이주호 대행에 대해 대통령에 준한 경호에 들어갔다. 경호처에 따르면 이 대행에 대한 경호 수준은 대통령에 준해 적용된다. 경호 대상은 이 대행과 배우자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