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시황] 뉴욕증시, 긍정적 관세 협상·경기침체 우려 공존에 혼조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보였다. 올해 1분기 미국 경제가 역성장했다는 소식에 하락했지만, 미국이 중국과의 관세 협상에 적극적으로 접촉하고 있다는 소식에 낙폭을 만회, 혼조 양상을 나타냈다.

현지시간으로 30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141.74p(0.35%) 상승한 4만669.36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8.23p(0.15%) 뛴 5569.06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14.98p(-0.09%) 밀린 1만7446.34에 장을 마쳤다. 

장 초반 발표된 미국 경제성장률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다는 소식이 악재로 작용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1분기(1~3월)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 대비 연율 0.3%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에는 GDP가 2.4%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미 경제가 크게 둔화한 수치다. 시장 예상치인 0.4%도 크게 밑돌았다. 

미국 경제가 분기 기준 역성장한 것은 지난 2022년 1분기(-1.0%) 이후 3년 만이다.

부진한 경제지표에 3대 지수는 하락했지만, 장 후반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소폭 상승했다. 특히 미국이 관세 협상을 위해 중국에 적극적으로 접촉했다는 소식이 지수 하단을 지지했다. 

중국 관영 중앙방송(CCTV) 계열의 소셜미디어 '위위안탄톈'은 이날 오후 "최근 미국이 관세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여러 채널을 통해 중국과 적극적으로 접촉해왔다"고 전했다. 

장초반 급락했던 기술주들은 빠르게 낙폭을 줄였다. 엔비디아는 0.09% 하락에 그쳤고, 알파벳 역시 0.72% 하락했다. 테슬라도 낙폭을 상당수 줄여 3.38% 하락 마감했다. 애플(0.61%), 마이크로소프트(0.31%) 은 소폭 올랐다.

트럼프 관세에도 불구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는 견조한 실적과 함께 인공지능(AI)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는 소식에 장마감 이후 주가가 각각 6%, 5% 이상 급등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1분기 매출이 700억7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은 3.46달러를 기록,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메타 역시 매출액 423억1000만달러, EPS가 6.43달러를 기록해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다.

국채금리는 소폭 하락했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0.6bp 내린 4.166로 마감했다. 정책금리 전망에 민감한 2년물은 4.5bp 떨어진 3.613%를 기록했다.

달러는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39% 오른 99.62pt를 가리켰다. 

국제유가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원유를 증산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겠다는 신호를 보내면서 급락했다. 세계 최대 산유국 중 하나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달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에 증산을 제안하겠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유가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6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2.21달러(-3.66%) 밀린 배럴당 58.21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6월물 브렌트유도 전장 대비 1.13달러(-1.76%) 떨어진 배럴당 63.12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50% 오른 7593.87에 거래를 마감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0.37% 뛴 8494.85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0.32% 상승한 2만2496.98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03% 밀린 5160.22를 기록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해외시황] 뉴욕증시, 긍정적 관세 협상·경기침체 우려 공존에 혼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