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또 다시 부산공동어시장 중매인 어대금 관리에 허점이 드러났다. 파산한 2명의 중도매인 중 한 명이 수천만원대의 어대금 질권담보금을 출금한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부산시수협통장에 현금을 적립하고 이 금액에 질권을 설정하여 담보로 공동어시장에서 받았던 수천만원의 어대금 질권담보금을 파산한 이모 중매인이 찾아간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어시장 측에서는 "전적으로 이는 질권담보금을 내어준 은행담당자의 실책(실수)다"라는 입장이다.
앞서 박극제 전 공동어시장 대표이사는 지난해 6월 부산공동어시장 소속 중도매인 2명이 파산하면서 20억 원에 달하는 대금을 회수하지 못하자 어시장 자체 예산으로 보전하려 한 혐의를 받고 있다. 박 전 대표는 영장실질심사에서 도주 및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 현재 구속수감 된 상태이다.
그간에 공동어시장은 한도초과 거래 및 어대금 담보에 대한 관리 소홀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지난해 6월 두 명의 중도매인이 파산한 데 이어 또 다른 중도매인들의 어대금 한도초과 거래에 의한 파산도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한 중도매인은 파산하기 불과 1개월 전에 어대금 보증금 한도금액 1억원을 낮춰 조정된 사실이 외부에 알려졌다.
B 수산업체 대표는 "집행부의 이중잣대로 벌어진 한도초과거래 문제로 어시장 전체가 매도되는 것이 안타깝다"며 "수산인의 자긍심이 걸린 문제이기 때문에 사안에 경중을 분명하게 가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어시장 내 소문으로만 떠돌던 ‘대표이사 및 집행부’에서 몇몇 중도매인을 상대로 밀어주기식에 운영을 해왔다는 주장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부산공동어시장 신임 정연송 대표이사는 "어시장 내에서 발생한 일련의 사태를 반면교사로 삼아 새롭게 위판규정을 만들 예정이다"며 "가장 큰 고민은 이번 사건으로 위축된 직원들의 사기진작이 우선 시급한 과제이다"라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