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머물러야 지방이 산다!... 지자체 청년 유입 정책 펼쳐

맘스커리어

[맘스커리어 = 김혜원 엄마기자] 경북 의성군에서 시작된 대형 산불로 숨진 30명 중 28명이 6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고령화의 심각성이 다시 한번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행정안전부와 산림청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목숨을 잃은 이들의 연령대는 90대 2명, 80대 13명, 70대 3명, 60대 10명, 50대와 30대가 각각 1명이었다. 노인이 노인을 구하다 변을 당하는가 하면, 산불 진화 인력 역시 대부분 60대 이상이었다.


저출생과 고령화로 지방은 이미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는 단순한 인구 문제가 아니라 재난 대응력과 생존을 위협하는 구조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청년층 유입을 통한 지역 재생에 사활을 걸고 있다. 창업 지원과 주거, 커뮤니티 활성화 등 다양한 정책을 앞다퉈 내놓으며, 청년들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전남 해남군이 도입한 ‘농민수당’ 제도는 대표적인 청년 유입 정책 중 하나다. 군은 2019년 전국 최초로 농민수당 조례를 제정하고, 농가에 연 6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고 있다. 이 제도는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인정할 뿐 아니라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해 농가 소득을 보전한다. 군에 따르면 제도 시행 후 지역화폐 사용액이 2배 가까이 늘고, 소상공인 매출도 평균 10% 이상 증가했다. 특히 청년 농업인 등록 건수가 15% 증가하며, 귀농·귀촌의 안정적 정착을 유도하는 촉매제가 됐다. 전문가들은 농민수당이 농업의 소득 불안정을 완화하고, 도시 청년의 농촌 이주를 독려하는 실질적 수단이 되고 있다고 평가한다.

전북 전주시는 월 임대로 최저 1만 원인 ‘청춘별채’를 도입했다. 시가 무주택 미혼 청년에게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를 받고 공급하는 매입임대주택이다.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고 지역에 안정적으로 뿌리내리고 살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입주 청년에게는 전용면적 85㎡ 이하 매입임대주택(다세대·연립주택)이 제공된다. 임대료는 집 크기에 따라 평균 보증금 50만 원, 월세 1만~3만 원 수준이다. 시는 2028년까지 총 21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포항시는 포스텍과 손잡고 도심 빈 건축물을 청년 창업 거점으로 탈바꿈시키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 11일, 양기관은 협약을 맺고, 빈 건물을 리모델링해 청년 대상 공유 오피스와 주거 결합형 창업 공간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포항시는 공간 제공과 행정 지원을, 포스텍은 창업 프로그램 운영과 기술 사업화를 맡는다. 시는 이 사업이 청년 창업 초기 부담을 덜고, 원도심 인구 유입과 상권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외에도 포항시는 빈집 철거비 지원, 무상 임대 창업 공간 제공 등 다양한 청년 유입 정책을 펼치고 있다.

청년의 지역 정착을 위해서는 문화·주거·일자리 등의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래야 젊은 층 유입을 기대할 수 있다. 청년이 머물러야 지역도 살아남을 수 있지 않을까.

 

맘스커리어 / 김혜원 엄마기자 [email protected] 

Copyright ⓒ 맘스커리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청년이 머물러야 지방이 산다!... 지자체 청년 유입 정책 펼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