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확정" 의약품 관세 불확실성 해소...제약·바이오 업계 안도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미국 트럼프 정부가 13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 공동 팩트시트를 통해 한국산 의약품 관세를 최대 15%로 제한하기로 확정하면서 수개월간 이어졌던 고관세 리스크가 일거에 해소됐다. 양국의 조인트 팩트시트 발표로 불확실성이 걷히자, 대미 수출 비중이 큰 제약·바이오 업계는 "최악을 피했다"며 글로벌 경쟁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한미 양국은 14일 관세 후속 협상 타결에 따른 합의 세부 내용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의약품에 부과되는 어떠한 관세의 경우에도 비율이 15%를 초과하지 않도록 적용하기로 했다. 제네릭(복제약)에 대해선 무관세를 적용한다.


팩트시트 발표 직후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한 목소리로 환영의 뜻을 밝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의약품에 대한 최혜국 대우로 15% 관세 적용이 확정된 것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고 다행스러운 결과로 평가한다"며 "당초 거론됐던 100% 관세 우려에서 벗어나 부담이 크게 완화된 셈"이라고 했다.

주요 기업도 관세 리스크 해소에 대한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최혜국 대우 합의를 환영한다”며 “셀트리온은 미국 내 생산시설 인수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구조적으로 탈피해왔다”고 전했다.

SK바이오팜은 "이번 발표에 따라 관세 관련 리스크가 대부분 해소된 것으로 생각한다"며 "회사는 계속되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에 대비해 왔고 이미 미국령 푸에르토리코 생산에도 착수했다"고 전했다.

이번 팩트시트의 핵심은 의약품 관세를 15% 이내로 제한한다는 점이다. 또한 제네릭 의약품은 전면 무관세로 적용된다.

이는 지난달 한미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최혜국대우(MFN)’ 조항을 명문화한 것으로, 한국산 의약품이 타국 대비 차별을 받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내용이 모두 정리돼 발표됐다”며 “우리 경제·안보의 핵심 변수였던 무역·통상 협상이 최종 타결됐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 초부터 지속해서 의약품 관세를 거론하며 지난 8월에는 250%까지 올릴 것이라고도 엄포를 놓았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100% 고율 관세를 언급해 불확실성이 이어졌다.

다만 이번 팩트시트에도 업계의 관심을 모았던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에 대한 내용은 빠졌다. 지난달 한·미 관세협상 타결 후에도 바이오시밀러가 제네릭 범주로 분류돼 무관세를 적용받을지, 별도 판단을 받을지 확정되지 않았는데 이번에도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고관세 변수는 해소됐지만, 바이오시밀러 등 세부 규정은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며 "향후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15% 확정" 의약품 관세 불확실성 해소...제약·바이오 업계 안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