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경북 봉화군 석포면과 인근 강원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는 13일 유엔(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 피차몬 여판통 위원장에게 이메일로 서한을 보내 석포 지역 실제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달라고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공투위는 지난 1일 일부 환경단체와 변호사들이 피차몬 위원장과 함께 석포면을 방문해 주민간담회를 가졌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해, 실제 석포 주민들은 간담회에서 철저히 배제됐다고 밝혔다. 공투위는 성명서를 통해 “위원장과 만난 환경단체 회원들은 석포는 물론 인근 지역 주민도 아니며, 저희가 진짜 석포와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환경단체가 간담회 전날인 10월 31일경 석포면 사무소에 정식 공문이 아닌 메신저 메시지로만 회의실 사용을 요청했고, 주민 대상 공식 안내나 참여 요청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공투위는 이를 주민 의견 배제와 일방적 주장으로 전체 민심을 왜곡해 UN에 전달하려는 시도로 규정했다.
공투위는 영풍 석포제련소가 환경단체의 비판과 달리 폐수 외부 무방류 시스템과 오염 확산 방지시설 등에 2025년 9월 기준 약 5200억 원을 투자했으며, 개선이 지속적이고 가시적이라고 밝혔다. 제련소 상·하류 수질은 환경 기준을 충분히 충족하고 있으며, 제련소 앞 강에서 멸종위기 1급 수달 서식과 다양한 어종 확인 등 현장의 변화를 주민들이 체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석포·봉화·태백 주민 약 500명은 석포면에서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 논의 철회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공투위는 “그날 우리는 일터와 삶터, 아이들의 내일을 지키고자 한 목소리로 외쳤다. 이것이 석포제련소가 있는 석포면에 사는 실제 주민들의 목소리”라고 밝혔다.
공투위는 UN 실무그룹에 특정 환경단체의 일방 주장뿐 아니라 실제 주민들의 절박한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 제련소의 환경 개선 상황, 지역 경제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 주민 생존권을 함께 살펴봐 달라고 요청했다. 공투위 관계자는 UN 측과 주민 대표 간 직접 간담회, 현장 확인, 추가 자료 제공에 기꺼이 협조할 뜻을 밝혔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