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CJ대한통운은 창립 95주년을 맞아 13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기념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신영수 대표를 비롯한 경영진과 임직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전국 사업장과 해외 법인 임직원들은 온라인 생중계로 참여했다.
신영수 대표는 이날 행사에서 “올해는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데 역량을 집중한 해”라며 “주 7일 배송체계를 중심으로 한 ‘오네(O-NE)’ 사업의 본격 확장, TES 기반 생산성 혁신, 수송·운송 체계 재정비 등 핵심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CJ대한통운의 지향점은 ‘고객이 원하는 것은 언제든, 어디서든, 무엇이든 해결하는 물류 기업’”이라며 “2030년은 100주년의 해이자 글로벌 톱10 도약이라는 목표를 향해 모두가 한 방향으로 나아가자”고 강조했다.
행사는 타운홀 형태로 진행돼 구성원과 경영진 간 자유로운 소통이 이뤄졌다. 신 대표는 올해 사업 성과와 개선 과제를 공유하고 중기 경영전략 방향을 제시했다. 현장과 온라인에서 임직원 질의에 직접 답하며 회사 변화와 비전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장기근속자 413명에게는 10년부터 35년 근속 기간에 따라 특별휴가와 포상이 지급됐다. 성과조직 포상제 ‘CJL Awards’에서는 매일오네(O-NE) 서비스 기회를 적극 확대한 영업본부 영업1담당 2팀 등 총 23개 조직이 각각 최대 1000만원의 포상금을 받았다. 도전적 시도를 격려하는 ‘의미 있는 실패상’도 수여됐다.
행사 후반부에는 신 대표와 신입사원이 100개의 CJ대한통운 헤리티지 퍼즐 조각으로 구성된 ‘Vision Wall’을 완성하며 2030 글로벌 톱10 달성을 향한 의지를 다졌다. 사전에는 헤리티지 일일 퀴즈, 추억 사진 공모전, 릴레이 축하 메시지 등 다양한 임직원 참여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CJ대한통운은 올해 주 7일 배송 브랜드 ‘매일오네(O-NE)’를 중심으로 새벽배송과 당일배송 서비스 라인업을 강화했다. AI 기반 운송 플랫폼 ‘더 운반’과 자동화 풀필먼트 확장을 통해 이커머스 물류 효율성을 높였다. TES 물류기술연구소에서는 AI, 로봇, 데이터 기술을 현장에 적용해 생산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켰다.
글로벌 부문은 관세 환경 악화에도 현지 계약물류 사업을 확대하고, 해외 대형 플랫폼과 협력을 강화하며 초국경 이커머스(CBE) 생태계 경쟁 우위를 공고히 했다.
CJ대한통운은 1930년 조선미곡창고로 시작해 95년간 대한민국 물류산업 근대화를 이끌어온 대표 물류기업이다. TES 물류기술을 기반으로 자동화, AI, 데이터 중심의 첨단 물류 혁신을 지속하며 북미, APAC 거점 확대와 글로벌 네트워크 고도화를 통해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