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비트코인이 10만달러 지지선을 다시 내주며 급락했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와 금리 인하 기대 약화가 겹치며 위험자산 전반의 투자심리가 급속히 얼어붙고 있다.
14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오전 10시48분 기준 9만9257달러에 거래되며 이달 들어 세 번째로 10만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국내에서도 빗썸과 업비트 모두 1억5000만원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는 전날 대비 2% 가까이 하락한 수치로, 지난 5월 이후 약 6개월 만의 최저 수준이다.
주요 코인도 동반 약세를 나타냈다. 이더리움은 6~7%대 하락하며 원화 기준 500만원선이 무너졌고, 솔라나·도지코인 등 알트코인도 4~6% 하락했다. 리플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에도 3% 넘게 밀렸다. 국내외 가격 차이를 의미하는 김치프리미엄도 1%대까지 축소됐다.
이번 급락은 미국발 불확실성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셧다운 여파로 연준이 고용·물가 등 핵심 지표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금리 경로 판단이 어려워졌고,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준 인사들의 신중론까지 이어지며 12월 금리 인하 기대도 약해졌다. 뉴욕증시도 기술주 중심으로 1~2%대 급락했다.
비트코인 ETF에서는 순유출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2주간 수십억달러 규모의 자금이 빠져나가며 상승 동력이 크게 약해졌다는 분석이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최근 하루 기준 전체 가상자산 시장 청산액은 5억달러를 넘어섰고, 이 중 비트코인이 1억6500만달러에 달했다. 대부분이 롱포지션 청산이었다.
시장에서는 공식적인 약세장 진입 경고도 나오고 있다. 10x리서치는 "ETF 자금 유입 둔화와 장기 보유자 매도, 개인 참여 감소가 겹쳤다"며 다음 지지선으로 9만3000달러를 제시했다. 데리비트에서도 9만~9만5000달러 구간의 풋옵션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전문가들은 추가 조정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미국의 베테랑 트레이더 피터 브란트는 "비트코인이 시장 충격에 따라 최대 5만달러까지 조정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일부 투자자들은 산업 펀더멘털 개선을 근거로 "조정 후 추가 상승 여력도 남아 있다"는 신중한 낙관론을 내놓기도 했다.
한편 가상자산 공포·탐욕 지수는 16점을 기록하며 '극단적 공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시장 전반의 변동성이 확대되며 비트코인이 심리적 지지선을 잇달아 내주는 가운데 향후 금리·정책 변수에 따라 하락세가 더 깊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평가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