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엠넷, 50억 제작비 뜯고 IP 가져가…사과하라" 엠피엠지, 갑질 폭로→법적 조치 [MD현장](종합)

마이데일리
엠피엠지 측 대기업의 갑질과 횡포에 대한 신고 기자회견 / 엠피엠지

[마이데일리 = 박서연 기자] 엠피엠지(MPMG) 측이 CJ ENM·엠넷(Mnet)의 갑질 횡포를 폭로했다.

12일 서울 마포구 엠피엠지 사옥에서 대기업의 갑질과 횡포에 대한 신고 기자회견이 열렸다. 엠피엠지 이종현 PD와 법무법인 정동의 김종희 변호사가 참석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엠피엠지는 수년간 경제적, 업무적, 정신적인 피해를 입었다며, 대기업의 갑질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 신고와 법적절차를 앞두고 취재진 앞에 섰다.

이종현 PD는 "대상이 되는 회사는 CJ ENM, 엠넷이다. 2022년에 방송 투자를 했던 '그레이트 서울 인베이전'이라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3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다시 꺼내기로 했다. 함께했던 스태프, 아티스트를 소환하는 게 과연 의미가 있는 걸까 침으려고 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프로그램이 끝난 다음 엄청 큰 피해를 입었다. 금전 피해뿐 아니라 업무적으로도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이후 또 엠넷에서 밴드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했을 때 가만히 안 있겠다 했는데 프로그램을 안 만들어서 참고 있었다"면서 "최근에 또 밴드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밴드에 대한 정통성을 갖고 있는 걸로 포장하는 걸 보고 선의의 피해자를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분노했다"고 털어놨다.

엠피엠지 측 대기업의 갑질과 횡포에 대한 신고 기자회견 / 엠피엠지

이 PD는 "'그레이트 서울 인베이전'은 유래가 없는 사례를 만들었다. 제작비 전액도 모자라서 제작비 이외의 돈을 투자해서 프로그램을 살려보려고 했던 우리 회사가 있다. 방송사가 돈을 하나도 안쓰고, 100%가 민간기업이 진행한 사례가 없는 걸로 안다. 방송사가 자기 돈 10원도 안 쓰고 IP를 가져갔다"고 토로했다.

더해 "방송사가 화제성 지수도 최악으로 만들었다. 경연에서 커버곡을 많이 시키지 않았다"고 신고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이후 이 PD는 당시 상황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그는 "2021년 가을쯤, 밴드 경연 프로를 보다가 밴드 신이 침체된 걸 보면서 음악 비즈니스를 하는 제작사 입장에서 밴드쪽도 좋아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도 노하우가 있으니 밴드 경연에 참여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JTBC '슈퍼밴드'에 연락했으나 당장 시즌 계획이 없다고 해서, CJ ENM PD 한 분을 만나서 계획에 대해 이야기 했다"며 "밴드판 '쇼 미더 머니'를 만들자고 하면서 적극적으로 했다. 우리가 10억 대고, 엠넷이 10억 대서 해보자고 했다. 재미는 있고 독하되 음악은 최대한 안 건드리면 좋겠다고 했다. 아예 신인도 아니고, 경연에서 대우를 너무 형편없게는 안해줬으면 좋겠다고도 했다. 한국 시장에서 아티스트들이 동시에 주목받을 수 있거나 해외에서도 프로모션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고 엠넷과 밴드 경연 프로그램을 논의하며 요구한 조건을 언급했다.

하지만 "(엠넷 측이) 며칠 만에 15억 가지고는 안되니 30억을 내놓으라고 하더라. 30억이라는 돈은 무리라고 했더니, 무조건 잘 되게 해서 베네핏을 주겠다고 하더라. 우리는 베네핏이 문제가 아니라 팀이 잘되길 바란다고 했지만, 결국 30억을 내기로 했다"고 말했다.

엠피엠지 측 대기업의 갑질과 횡포에 대한 신고 기자회견 / 엠피엠지

이 PD는 "그런데 계약서에 협찬 계약서라고 써있더라. 모든 제작비를 우리가 대는데 왜 협찬인가 했다. 해당 PD와 사업팀이 회사의 기본적인 포맷의 계약서라 바꿀 수가 없다고 하더라. 믿고 하겠다고 하고 계약서를 쓰고 시작을 했다"며 "처음 진행되는 과정부터 이상한 것들을 보기 시작했다. 심사위원 섭외를 못한다든지, 밴드에 대해 너무 모른다든지. 갑자기 외주를 데리고 오기도 했다. 그러더니 담당 PD가 그만뒀다고 방송 1개월을 미뤘으면 좋겠다더라. 공연 계획도 짜고 아티스트 스케줄도 있는데라고 했는데 저와 상의도 안하고 SNS에 방송을 1개월 미룬다고 올렸더라"며 이미 공지된 상태라 어쩔 수 없이 그대로 강행했다고 밝혔다.

분노를 키운 점은 "저희 회사가 노출되는 게 극도로 배제됐다. 제작발표회가 있는데, 제가 발표회 날짜도 몰랐다.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우리 회사 아티스트 스케줄을 보고 날짜를 알았다. 대부분이 우리가 제작하는지를 모르더라"라고 이야기했다.

엠피엠지 측 대기업의 갑질과 횡포에 대한 신고 기자회견 / 엠피엠지

이 PD는 "2023년 회사가 세무 감사를 하려면 어디에다 돈을 썼는지를 알려줘야 한다. 그래서 CJ에 30억 드린 거에 대한 내역서를 달라고 했다. 세무 감사를 하려면 필요하다고 했는데 한 마디 대답도 없었다"며 "CJ라는 회사는 소통이 되는 회사인가. 중소기업의 열의를 짓밟고 어떻게 무책임하게 할 수 있는 것인가"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러면서 "최근 밴드 경연을 보면서 더이상 이러면 안될 거란 생각으로 신고를 하게 됐다. 중소기업한테 삥 뜯어서 모든 걸 다 착취하고, 무책임한 것에 창피하지 않는지 궁금하다. 최근 밴드 경연 보면 협찬사에 카카오엔터, CJ 문화재단이 써있다. 과연 우리와 똑같은 방식으로 감언이설에 속아서 착취를 당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이 든다. 아니면 우리와 다르게 대우를 받고 있는 건가. 그 두 가지가 궁금하다"고 이야기했다.

엠피엠지 측 대기업의 갑질과 횡포에 대한 신고 기자회견 / 엠피엠지

엠피엠지가 엠넷 '그레이트 서울 인베이전'에 투자한 총 비용에 대해선 이 PD의 개인 사비를 포함해 "50억 원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또 협찬 계약서를 작성한 것과 관련해 "협찬 계약이라 하면, 후원이라는 의미이지 않나. 그런데 사실 저희를 브랜딩 하지도 않고, 광고도 안했다. 애초부터 왜 협찬 계약인지 의구심이 들었으나 그것이 표준이라고 하면서 저희를 설득했다"며 "처음에 믿을 때는 여러 사람이 그 말을 하고 책임지겠다고 하니까 할 말이 없었다. 문제가 터졌을 때는 뺄 수가 없었다. 이미 돈이 다 들어갔고, 방송이 되고 있으니. 어떻게든 방송을 살려보는 수밖에 없었다"고 수십억 원을 투자하면서도 협찬 계약서를 작성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밝혔다.

궁극적으로 이 PD가 CJ ENM, 엠넷 측에 바라는 점도 밝혔다. 이 PD는 "CJ에 바라는 건, 과연 회사 책임자급이 이렇게 흘러가는 사태를 아셨는지 궁금하다. 모르셨다면 늦었지만 사과를 받고 싶다. 다시는 저희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게 했으면 좋겠다. 손실을 봤으니 일정부분 감내를 해줬으면 좋겠다. 저는 제가 펼치지 못한 걸 그 돈으로 펼치고 싶다. 돈 쓰고 아무것도 얻지를 못했다. 법적으로 책임질 부분이 있으면 기업이 법적으로 책임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동의 변호사는 "신고는 한 상태"라며 "필요한 법적인 조치를 해나갈 생각이다. 녹취도 들어보고 있고, 메일도 다 정리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CJ·엠넷, 50억 제작비 뜯고 IP 가져가…사과하라" 엠피엠지, 갑질 폭로→법적 조치 [MD현장](종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