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광주 광산구(구청장 박병규)가 지난 4월부터 시행 중인 '맞춤형 공영주차장 요금제'가 시민 이용률 증가와 수익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며 지역 교통정책의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광산구는 공영주차장 이용 활성화와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해 △2시간 1000원에 이용 가능한 '천원주차장' △오후 7시~다음 날 오전 8시 무료 '야간개방' △6개월 이상 장기권 선납 시 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캠핑카 할인' 정책을 4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천원주차장은 △광주송정역 뒤 △무진로 △우산동행정복지센터 앞 △광산문화예술회관 옆 △운남동 △수완동행정복지센터 옆 △수완문화체육센터 지하 △하남3지구 주차타워1·2 등 총 9곳에서 시행 중이다.
제도 도입 전후 월 이용 대수는 3만9555대에서 4만5263대로 14% 증가했으며, 광주송정역 뒤 공영주차장은 요금을 1600원에서 1000원으로 인하한 결과 이용률이 27% 상승했다.
이용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전체 공영주차장 수입은 전년 대비 26~29% 증가해, 합리적 요금정책이 이용률 제고와 수익 개선을 동시에 달성한 것으로 분석된다.
야간개방 주차장 이용 대수도 7000대에서 9000대로 증가했으며, 특히 3시간 미만 야간 주차는 우산동행정복지센터 앞(182%), 하남3지구 주차타워1(180%) 등 상권 인접 지역에서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캠핑카 할인 역시 장기 유휴지 주차로 인한 안전과 미관 개선에 효과가 있었으며, 6개월 이상 정기권 선납 시 요금 감면을 적용하는 장기권 할인제 역시 시행 전 대비 신청률이 평균 45% 늘어, 유휴지 내 장기 주차 차량 해소와 미관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공영주차장 이용 증가로 인근 불법주정차가 감소하며 교통질서가 개선됐다.
고정식·이동식 단속카메라 및 민원 접수 건수를 합한 불법주정차 총 적발 건수는 2022년 21만 건에서 올해 10월 기준 15만 건으로 29% 감소해 맞춤형 정책의 실효성이 수치로 확인됐다.
광산구는 오는 22일까지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맞춤형 공영주차장 정책에 대한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결과를 반영해 2026년부터 개선된 정책을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공영주차장은 단순한 주차 공간이 아니라 시민의 생활 편의와 지역 상권 활력을 높이는 공공 인프라"라며 "시민 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합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주차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광산구의 맞춤형 공영주차장 정책은 시민 생활 편의 증진과 지역 상권 활성화, 도심 교통질서 개선에 기여하며, 주차 행정의 모범 사례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