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권신구 기자 검찰이 대장동 사건의 항소를 포기한 것과 관련해 정치권 안팎에서 ‘윗선 개입’ 의혹이 번지고 있는 가운데 대통령실이 방어에 나섰다. 공식적으론 입장이 없다고 밝혔지만, 방송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개입설을 일축하면서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전날(11일) SBS 유튜브 ‘정치컨설팅 스토브리그’에 출연해 “남욱, 김만배, 유동규 씨 등은 지난 2022년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낙선되도록 기여한 사람들”이라며 “우리는 그 사람들이 패가망신을 하기 바라는 사람들”이라고 했다. 이어 “대통령실이 특별히 이 복잡스러운 일에 (끼어드는 게) 정무적으로 무슨 실익이 있나”라고 했다.
검찰이 대장동 사건의 항소를 포기한 것을 두고 정치권 안팎에서는 윗선의 압력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고개를 들었다. 특히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항소 포기 배경과 관련해 용산과 법무부 등을 언급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은 더욱 증폭됐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대통령실과의 논의는 없었다고 강조했지만, 국민의힘은 이 대통령의 탄핵까지 언급하며 공세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우 수석은 이번 항소 포기와 관련한 검사들의 반발에 대해 “자기들이 하려고 했던 것이 좌절됐기 때문에 서운할 수 있고 의심할 수 있다”면서도 “일단 이번에 수사하고 기소를 책임지신 분들은 반성해야 하는 것 아닌가. 일단 구형의 실패 아닌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검사가 시킨 대로 발언을 조작해 준 대가로 구형을 싸게 한 거라고 저는 의심할 수 있다”며 “수사검사, 기소검사가 화를 내는 것은 일단 항소 취소 문제를 떠나서 잘 이해가 안 간다”고 했다.
김병욱 대통령실 정무비서관도 전날 YTN 라디오 ‘김준우의 뉴스정면승부’에서 “이렇게 검찰 집단 전체가 입장을 내고 항명을 한 적은 최근에 한 번도 없었다”며 “아무리 생각해 봐도 이것이 과연 집단 항명할 정도의 내용일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말 스스로가 공무원의 신분이라는 것을 자각을 하고 공무원으로서의 행동을 해 주기를 부탁드리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