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KT가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해 개발한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Secure Public Cloud)’를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국내 금융·제조 기업을 우선 대상으로 적용하며, 이후 다양한 산업군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기반으로 구축돼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와 함께 KT의 멀티 클라우드 라인업을 강화한다. KT는 이를 통해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했다.
이 서비스는 국내 디지털 주권과 고성능 클라우드를 동시에 충족하는 한국형 클라우드다. 대규모 클라우드 인프라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어 기존 퍼블릭 클라우드 이상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또한 국내 규제에 특화된 보안 기능을 갖춰 데이터 보안과 디지털 주권을 강화했다.
KT는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개발을 위해 자체 기준 3가지를 마련했다. 첫째, 데이터 전 과정(저장·전송·사용)에서 안전한 보호를 구현했다. 둘째, 고객의 자원 권한을 강화했다. 셋째, 모든 데이터는 국내에서 저장·관리하도록 설정해 데이터 자원이 국내 기업과 기관의 권한 내에서 통제된다.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에는 ‘기밀 컴퓨팅(Confidential Computing)’ 기술이 적용됐다. 이는 클라우드 인프라에 하드웨어 기반 보안기술을 도입한 것으로, 메모리 상 데이터를 암호화해 외부에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관리형 HSM(Hardware Security Module)’을 통해 이용 기업이 직접 관리하는 전용 키(Customer Managed Key)를 안전하게 생성·보관·관리한다. 이 전용 키 체계는 데이터 저장부터 기밀 컴퓨팅 서버에서의 데이터 활용까지 클라우드 내 데이터 암호화 전 과정을 제어한다.
KT는 클라우드 MSP 사업자로서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부터 운영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출시를 계기로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보안 요건에 따라 CSAP 인증을 획득한 KT 클라우드,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고객 요구에 맞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한다.
KT Enterprise 부문 AX 사업본부장 유서봉 상무는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는 고객의 디지털 주권을 강화하면서 글로벌 수준의 보안과 컴플라이언스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안전한 클라우드 서비스”라며 “KT는 고객들이 신뢰도 높은 소버린 클라우드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적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