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공정한 하도급거래는 개별 기업의 이익을 넘어 산업 생태계 전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국민 경제 활성화의 기반이 되지만 반대로 불공정 하도급거래는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악영향을 끼친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중소기업 간 거래에서도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 문화가 확산되도록 독려하기 위한 조치로 올해 중소기업 간 하도급거래 모범업체 4곳을 선정했다.
12일 공정위는 광진종합건설, 장한종합건설, 대복종합건설, 진보건설 등 4개 중소 건설사를 '2025년 하도급거래 모범업체'로 선정했다고 밝히며, 이들 4개 기업은 향후 1년간 실질적인 혜택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들 업체는 2024년 한 해 동안 협력업체에게 하도급대금을 40일 이내에 100% 현금으로 지급했으며, 최근 3년간 하도급법 위반 사실이 없었다. 또한, 최신 표준하도급계약서를 사용하는 등 법규를 철저히 준수한 점이 높게 평가됐다. 특히, 이들은 협력업체에 기술개발비 등 자금을 지원하고 건설 실무 교육을 제공하는 한편, 전자계약 수입인지세까지 지급하는 등 다양한 상생 협력 프로그램을 모범적으로 운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위는 이들 모범업체들에 ▲1년 간 하도급거래 직권조사를 면제받고, ▲벌점 3점이 경감되며, ▲국토교통부의 상호협력 평가시 가점 3점(공공입찰, 시공능력평가 우대), ▲금융위원회의 대출금리 우대 등 관련 부처들이 제공하는 각종 지원 혜택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중소기업 간 하도급거래에서도 공정거래 및 상생협력 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모범사례를 발굴하고, 하도급 모범 거래 관행 정착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