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개혁 없인 미래도 없다"…8만6000명 농·축협 노동자 상경투쟁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조 전국협동조합본부는 10일 서울 농협중앙회 앞에서 8만6000명 농·축협 노동자의 이름으로 결의대회를 열고 통상임금 확대, 2025년 임단투 승리, 불공정 위수탁 중단, 비리 조합장 퇴출 등을 요구할 계획이다.

노조는 "법원의 판례가 고의적 통상임금 축소를 제동 걸었음에도 농협중앙회가 급여 규정을 바꿔 또다시 임금을 깎으려 하고 있다"며 "온전한 통상임금 확대를 통한 실질적 임금 보장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주장할 예정이다.

현장의 노동 현실도 집중 부각될 전망이다. 인력 부족으로 제때 화장실조차 가지 못해 방광염에 시달리고, 실적 강요에 내몰려 스스로 보험 상품을 가입해야 하는 기형적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노조가 지적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로마트 노동자들이 고객만족도 평가라는 이름의 감시 속에 인권을 침해당하고 있으며, 성추행·괴롭힘을 저지른 조합장이 직무조차 정지되지 않아 피해자가 같은 공간에서 일해야 하는 문제도 거론될 예정이다.

노조는 "농·축협 노동자는 괴롭힘과 책임 전가, 불공정 거래 강요 속에 짓밟히고 있다"며 "노조 설립을 이유로 쫓겨나는 현실, 제왕적 조합장의 권력 아래 흔들리는 노동 3권을 반드시 바로잡겠다"고 목소리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결의대회에서 제시될 핵심 요구는 △통상임금 확대 적용 △2025년 임단투 승리 △실적 강요·괴롭힘 근절 △적정 인력 충원 △하나로마트 고객만족도 평가 폐지 △동물사고 산재 예방 기준 마련 △비리·반인권 조합장 퇴출 제도 마련 △상호금융특별회계 1조 원 지급 약속 이행 △농축협 카드사업 위수탁 공정 갱신 △노조할 권리 보장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등 11가지다.

노조는 또 "농협중앙회는 사용자가 아니라며 책임을 회피하면서도 통상임금과 인사·노사관계에 개입해 현장을 파행으로 몰아넣고 있다"며 "불공정한 위수탁 계약은 노동자들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갑질"이라고 비판할 계획이다. 이어 "상호금융특별회계 추가정산 1조 원 지급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농축협의 미래도 없다"고 경고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재해 문제도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소 계류 작업 중 손가락이 절단되는 사고 등 현장이 여전히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감독이 사고 발생 후에야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OECD 최악의 산재 사망률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직장에서 죽지 않고 퇴근할 권리를 위해 중대재해처벌법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할 예정이다.

결의대회 참가자들은 "노동조건은 생존이고, 인권은 존엄이며, 안전은 미래"라며 "노조 할 권리를 법제화하고 산별교섭권을 쟁취하겠다. 농협 개혁 없이는 노동자도, 농협의 미래도 없다"고 선언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노조의 요구가 지나치게 많고 현실적 대안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농협중앙회가 경영난을 이유로 임금 인상에 난색을 표하는 상황에서 이 같은 요구가 수용되기는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농협 개혁은 노동자만의 과제가 아니다. 제왕적 조합장 구조, 불투명한 경영, 불공정한 위수탁 관계, 노동 인권 침해까지 맞물려 있는 만큼, 중앙회는 책임 있는 개혁안을 내놓아야 하고 노조 역시 지속 가능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농협 개혁 없인 미래도 없다"…8만6000명 농·축협 노동자 상경투쟁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