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국내은행 BIS 총자본비율 개선…"환율 하락·RWA 감소 영향"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지난 2분기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의 하락과 당기순이익이 증가하면서다.

9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발표한 '6월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국내 은행의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3.57%로 전분기말(13.19%) 대비 0.38%포인트(p) 상승했다.

같은 기간 총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은 각각 0.29%p 오른 15.95%, 0.36%p 증가한 14.87%로 집계됐다.

BIS 자본비율은 총자산(위험자산 가중평가)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이다. 특히 은행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CET1은 은행의 자본 건정성과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환원의 결정적 지표로 사용된다.

금융당국의 규제 기준은 △보통주자본비율 8.0% △기본자본비율 9.5% △총자본비율 11.5%다.

금감원은 6월 말 기준 모든 국내 은행의 자본비율이 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등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총자본비율 기준 우리·KB·신한·씨티·SC·카카오 등이 16.0%를 넘어서면서 안정적인 모습을, BNK는 14%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보통주자본비율은 씨티·SC·카카오·수출입·토스가 14% 이상, KB·하나·신한·산업이 13%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부분 은행의 보통주자본비율은 전분기말 대비 상승했으나 카카오와 케이뱅크는 각각 0.61%p, 0.36%p 하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원·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당기순이익이 견조한 흐름을 지속, 외화대출자산의 위험가중자산(RWA) 환산액이 감소한 데 주로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환율 변동, 국내 경기회복 지연 등 불확실성과 연체율 지속 상승 등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은행 자본비율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2분기 국내은행 BIS 총자본비율 개선…"환율 하락·RWA 감소 영향"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