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최근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투자자 유의사항을 발표했다. 기준가(NAV), 합성총보수(TER) 등을 살펴야 한다고 당부했다.
9일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ETF 시장은 지난 5년간 급성장했다. 2020년 말 52조원이던 순자산총액은 2025년 8월 말 기준 약 4.5배 증가한 232조원을 기록했다. 상장 종목 수도 국내 ETF 도입 이래 처음으로 1000개를 넘어섰다.
ETF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하고, 실시간 거래가 편리하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국민의 자산 증식 수단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최근 옵션 활용 등 복잡한 구조의 상품들이 늘어나면서 투자자가 상품의 특성과 위험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에 금감원은 투자자 보호를 위해 주요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우선 분배율과 기준가 동시 확인이 필요하다. 분배율이 높아 보여도 기준가가 크게 하락할 경우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는 기준가 추이도 함께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목표 분배율이 연 20%인 ETF 상품에 '1억원 넣으면 월 150만원씩 따박따박'과 같은 표현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실제 투자 전 효과를 면밀히 비교해야 한다.
금감원은 "투자원금 대비 정해진 금액을 은행예금 이자와 같이 확정 지급한다는 의미의 표현은 잘못됐으며, 목표분배율을 달성한 경우더라도 ETF 순자산가치가 지속적 으로 감소한다면 실제 효과인 분배금 수령액은 투자자의 예상보다 감소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ETF 투자 비용은 합성총보수까지 명확히 파악해야 한다. 특히 장기 투자 시 비용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자신이 지출하는 실제 비용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합성총보수는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에서 펀드별 보수비용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ETF 추적오차와 괴리율 확대 시 투자자의 기대수익률과 실제 투자 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 추적오차는 ETF가 추종하는 기초지수와 순자산가치 간의 차이를, 괴리율은 시장가격과 순자산가치 간의 차이를 말한다. 시장가격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경우, 정상화 과정에서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해외자산 투자 ETF는 시차로 인해 괴리율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과도하거나 장기간 지속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관련 지표들은 한국거래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옵션 활용 ETF는 운용전략도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옵션을 활용한 ETF는 구조가 복잡해 운용전략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외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SNS)의 ETF 추천 영상 등에 의존하기보다 운용사 홈페이지 등에 게시된 투자설명서와 투자위험 등을 확인 후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투자자가 편리하고 유용하게 ETF를 활용할 수 있도록 펀드신고서상 투자전략 및 투자위험을 면밀히 심사하는 한편, 앞으로도 투자자의 알권리 보장과 건전한 ETF 투자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