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금융권이 장애인·고령층에 대한 접근성 강화에 나선다. 음성 OTP·텍스트 상담·금융앱 간편모드의 도입 현황을 점검하고 서비스 개선 등 추가 과제도 논의하기로 했다.
29일 금융위원회는 금융감독원과 은행연합회에서 장애인 및 고령층 등 금융 취약계층의 금융접근성 개선을 위한 현장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이는 지난 4월 발표된 '장애인 금융접근성 제고 전략과 방안'의 후속 조치다. 금융서비스 이용 불편 해소와 추가 과제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서는 시각장애인용 음성 OTP, 청각장애인 텍스트 상담 서비스(STT·태블릿 상담), 고령자용 금융앱 간편모드 등 맞춤형 서비스 도입 현황을 집중 점검했다.
시각장애인용 OTP는 배터리 교체, 음량 조절, 전원 및 잔량 안내 버튼 등이 대폭 개선돼 4개 주요 시중은행이 8월에 도입을 완료했다. 나머지 은행들도 올해 3~4분기 중 도입할 계획이다.
고령자용 간편모드는 큰 글씨와 직관적 UI 설계로 모바일 금융 이용을 쉽게 하는 기능으로 은행과 카드사는 100% 도입을 완료했다. 이어 △저축은행 79% △손해보험 70% △생명보험 65% △증권 18% 등으로 확산 중이다.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STT·태블릿 상담 서비스도 확대되고 있다. 은행권은 73%에 해당하는 11곳, 저축은행은 86%에 해당하는 68곳이 도입을 마쳤다. 증권·보험 등 타 업권은 아직 저조하지만 연말까지 대면 수요가 많은 부문을 중심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김진홍 금융소비자국장은 "디지털 금융화가 가속되면서 금융취약계층이 체감하는 장벽이 높아지고 있다"며 "금융회사는 이들의 목소리를 귀 기울이고 서비스 개선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포용성 강화는 단순 지원을 넘어 금융제도의 신뢰와 지속가능성 기반"이라며 "금융소외 계층이 없도록 지속 점검과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장애인·고령층 등 소외계층의 금융 이용 불편 해소를 위한 과제 이행 상황을 지속 점검하며, 현장 의견을 반영해 추가 개선 과제도 적극 발굴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