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0.9%로 상향…건설 부진 지속

마이데일리
/게티이미지뱅크

[마이데일리 = 이보라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상향 조정했다. 추경으로 인한 소비 개선과 수출 호조 영향이다. 다만 건설 부문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골이 깊어지고 있다.

28일 한은은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0.9%로 높였다. 지난 5월 전망치 0.8%보다 0.1%포인트(p) 올라간 수준이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1.6%로 유지했다.

한은이 전망한 성장률 0.9%는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제시한 0.8%보다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시한 1.0%보다는 낮다. 정부 전망치와는 동일한 수준이다.

한은은 앞서 지난 2023년 11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3%로 전망한 뒤, 지난해 5월 2.1%, 11월 1.9%, 올해 2월 1.5%, 5월 0.8% 등으로 지속해서 낮추다 이번에 처음으로 올렸다.

성장률 전망치가 상향조정된 이유는 추경과 수출 효과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2차 추가경정예산과 경제심리 개선으로 소비 회복세 등이 예상보다 커져 올해 성장률을 0.2%p 정도 높였다”며 “수출 측면에서도 0.2%p 정도 높이는 요인이 있었다”고 말했다.

성장률은 상향되더라도 0%대로 여전히 부진한 수준이다. 건설 경기 부진이 길어지는 탓이다. 이 총재는 “건설경기가 당초 예상보다 부진한 점은 올해 성장 전망을 0.3%p 정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건설투자 성장률이 마이너스가 아닌 0%만 됐다면 연간 성장률은 0.9%가 아닌 2.1%까지도 오를 가능성이 있었다”고 말했다.

분기별로 경제성장률을 살펴보면, 1분기에는 전년 대비 0.2% 역성장했으나 2분기에는 0.6%나 성장하며 반등했다. 3분기 전망치는 기존 0.7%에서 1.1%로 높아졌다. 소비쿠폰 지급과 반도체 수출 호조에 높은 성장세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다만 4분기에는 기존 0.6%에서 0.2%로 낮아질 것으로 수정됐다. 연말로 갈수록 철강·자동차 등 관세부과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하방압력이 커지면서 성장률이 둔화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향후 성장경로에서 리스크 요인으로 미·중 관세협상 등 글로벌 통상환경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꼽았다. 중국·캐나다·멕시코 등과 진행 중인 관세협상이 원만히 타결되면 펜타닐 관세 철폐 등 관세가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내년 국내 성장률은 기존 전망 대비 0.1%p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무역갈등이 재점화돼 미국과 중국·캐나다·멕시코 등의 협상이 결렬될 경우 이들 국가들이 보복관세로 대응한다면 내년 국내 성장률은 기존 전망 대비 0.2%p 가량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0.9%로 상향…건설 부진 지속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