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한컴인스페이스가 125억원 규모의 프리 IPO(상장 전 투자 유치)를 한 달여 만에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투자 유치는 포스코기술투자, 코너스톤투자파트너스, 인라이트벤처스, 디티앤인베스트먼트, 에잇더블투파트너스 등 주요 기관투자자가 참여했다. 한컴인스페이스는 지난 6월 기술성 평가를 통과한 뒤 이번 투자 유치를 기반으로 연내 코스닥 상장 절차를 본격화한다.

한컴인스페이스는 지난 2020년 한컴그룹에 편입된 이후 5년 만에 급성장했다. 한컴그룹의 전략적 지원과 독보적인 AI 데이터 분석 기술력이 결합해 시너지를 냈다. 회사는 위성, 드론, IoT 센서 등 다양한 원천 데이터를 AI 기술로 융합해 고객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기술력을 갖췄다.
자체 개발한 AI 기반 데이터 융합 분석 플랫폼 ‘인스테이션(InStation)’은 지리공간정보(GEOINT), 영상정보(IMINT), 신호정보(SIGINT) 등 다양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융합하고 AI 모델로 분석해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한다. 경보 기능도 제공한다. 전 주기를 자동화하는 ‘야누스(Janus)’ 엔진과 AI 모델 학습 및 배포를 자동화하는 엠엘옵스(MLOps) 기술이 적용됐다.
한컴인스페이스는 재난·재해 탐지, 농작물 생산량 예측, 국방 감시, 산업안전 모니터링 등 고부가가치 데이터 시장을 선도한다. 국내외 100건 이상의 사업을 통해 기술 효용성을 입증했다.
양질의 원천 데이터 확보를 위해 독자적인 데이터 수집 인프라도 구축했다. 2022년 ‘세종 1호’ 위성 발사를 시작으로 올해 6월 ‘세종 2호’를 궤도에 올렸다. 2025년 11월 ‘세종 4호’(누리호 4차), 2026년 2월 ‘세종 3호’(팰컨9), 2026년 6월 ‘세종 5호’(누리호 5차)를 발사해 위성 데이터 인프라를 확장한다. ‘K-미션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궁극적으로 최대 50기 군집위성 시스템을 구축해 데이터 실시간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수준의 고품질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위성 데이터뿐 아니라 자체 무인 드론 운영 시스템 ‘드론샛(DroneSAT)’을 통해 지상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술도 내재화했다. 드론샛은 일본 태양광 발전소 실증 사업에 활용되고 있으며, 대전 스마트시티 사업에서는 119안전센터 15곳에 드론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우주와 지상을 아우르는 한컴인스페이스의 종합 데이터 분석 역량을 보여준다.
최명진 한컴인스페이스 대표는 “한컴인스페이스는 항공우주 기업을 넘어 독자적인 데이터 인프라와 AI를 결합한 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투자 유치가 시장에서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평가했다. 확보된 자금과 신뢰를 바탕으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글로벌 데이터 리더십 확보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