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워치8, 수면부터 심장건강까지 책임진다

시사위크
삼성전자는 7일 브리핑을 열고 ‘갤럭시 워치8’ 시리즈의 센서 기술 혁신을 통해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과 예방적 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사진은 브리핑을 진행하는  최종민 삼성전자 MX사업부 헬스 하드웨어 개발그룹 상무./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7일 브리핑을 열고 ‘갤럭시 워치8’ 시리즈의 센서 기술 혁신을 통해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과 예방적 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사진은 브리핑을 진행하는  최종민 삼성전자 MX사업부 헬스 하드웨어 개발그룹 상무./ 삼성전자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삼성전자는 7일 브리핑을 열고 ‘갤럭시 워치8’ 시리즈의 센서 기술 혁신을 통해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과 예방적 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최종민 삼성전자 MX사업부 헬스 하드웨어 개발그룹 상무는 “갤럭시 워치는 늘 착용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이를 통해 이용자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2013년부터 웨어러블 센서와 알고리즘 개발을 시작해 갤럭시 기어에 처음으로 탑재했다. 웨어러블의 센서는 심박수, 수면 스트레스 등 다양한 건강 지표를 측정해 복잡하고 흩어져 있는 건강 정보를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지난 7월 뉴욕 언팩 행사에서 공개한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삼성전자가 그리는 웨어러블 산업의 미래 청사진이다. 삼성전자는 이 신형 모델들에 대해 ‘동반자 디바이스’라고 정의했다. 단순한 전자기기를 넘어 인공지능(AI), 첨단센서를 이용해 이용자의 삶과 건강을 보조해준다는 의미다.

실제로 갤럭시 워치8은 기존 제품의 건강관리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수면질’ 관리를 위한 ‘취침 시간 가이드 기능’도 탑재됐다. ‘Two-Process 수면 모델’을 기반의 서비스다. 사용자가 3일간 워치를 착용하고 수면을 기록하면 생체 리듬(생체 시계) 및 수면 욕구(피로도) 분석을 기반으로 최적의 취침 시간을 계산해 건강한 수면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이 기술은 KAIST 연구팀과 알고리즘을 공동 개발했다. 또한 삼성서울병원을 통해 임상 검증을 거쳤다.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최상의 컨디션을 위한 최적의 취침 시간을 제안한다는 것이 삼성전자 측 설명이다.

또한 갤럭시 워치8은 스마트 워치 중 세계 최초로 ‘항산화 지수 측정 기능’도 적용했다. 바이오액티브 센서로 5초 만에 체내 항산화 성분인 카로티노이드 수준을 측정한다. 피부 카로티노이드는 채소, 과일 섭취 지표다. 이는 암이나 각종 만성 질환 예방에 참고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표로도 활용 가능하다.

아울러 삼성전자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심혈관 건강 관리 기능도 강화했다. 혈관 스트레스는 수면 중 혈액 흐름과 관련된 광학 신호인 PPG (Photoplethysmogram) 신호를 측정해 혈관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한다.

또한 향상된 심전도(ECG) 모니터링 기능은 이소성 박동을 감지한다. 이소성 박동은 정기 검진에서도 발견하기 어려운 불규칙한 심장 박동이다. 빈도가 높을 경우 심방세동으로 이어져 뇌졸중과 심부전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최종민 삼성전자 상무는 “고도화된 워치 센서 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이 건강한 습관을 형성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해 예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며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헬스케어의 미래를 선도하며 더 나은 건강 관리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갤럭시 워치8, 수면부터 심장건강까지 책임진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