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 5일 기준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국민의 93.6%인 4736만명에게 지급된 가운데, 실제 소비 흐름에도 가시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소비쿠폰은 편의점과 의료기관, 카페 등 생활 밀착형 업종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엠브레인 딥데이터의 1차 결제 데이터 분석(7월22일~28일)에 따르면, 소비쿠폰 사용처 1위는 편의점(11.3%)으로 나타났다. 이어 △의료·건강 분야(5.0%) △카페(4.4%) △일반음식점(3.9%) 순이었다. 정부가 '물가 부담 완화'와 '소상공인 매출 회복'을 목표로 추진한 정책인 만큼, 실제 사용이 생활밀착 업종에 집중되며 정책의 취지가 현장에서 반영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연령별·성별 소비 패턴 뚜렷…남성은 편의점, 여성은 카페
소비 행태는 세대별·성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0·30대는 편의점과 카페에서의 소비 비중이 높았고, 60대 이상은 병원과 약국 등 건강 관련 업종에서의 결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0·30대의 편의점 사용 비율은 69.7%로 전체 세대 중 과반수를 차지했다. 카페 사용 비율이 가장 높은 세대는 30대로 22.9%를 차지했다. 특히 남성(32.8%)의 경우 편의점에서 사용률이 여성(24.5%) 대비 높은 편이었다. 여성(24.7%) 이용자의 경우 카페 및 베이커리에서 사용 경험이 남성(19.6%)두드러진 특징을 보였다.
반면 고연령층은 병원이나 약국 등 의료·건강 업종에서의 결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20·30대는 19.2%, 50·60대는 24.2%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소비쿠폰이 단순한 지출 확대 수단을 넘어, 개인 맞춤형 소비 행태를 반영한 소비 플랫폼으로도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소득 낮을수록 생필품, 높을수록 교육에 투자
소득 수준별 소비 행태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연소득 1000만원 미만 응답자의 경우, 소비쿠폰을 마트나 할인점(10.7%)에서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안경점 등 고단가 품목에서의 결제도 소득 하위 그룹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쿠폰이 생계에 실질적인 보탬이 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편 소득 상위층일수록 학원 등 고비용 교육 업종에서 소비쿠폰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여유에 따라 지출 우선순위가 달라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체감도 높은 정책…지속 가능성은 미지수"
전문가들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짧은 시간 내 소비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은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물가 부담 경감'과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정책 목적에 부합하는 사용 흐름이 실제 데이터에서 나타난다는 점에서, 정책의 체감 효과와 실효성을 동시에 입증했다는 분석이다.
강예원 한국신용데이터 데이터 총괄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서민, 지방의 소비 역량 증대로 소상공인 매출 증가를 이끌어내고 있음이 나타났다"며 "유통, 외식, 미용 등 생활 밀착 업종에서 뚜렷한 매출의 변화가 나타난 만큼 정책이 더 많은 골목상권 회복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소비쿠폰이 일회성 지급에 그칠 경우 지속적인 소비 회복 효과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우려도 나온다. 향후 2차 지급 여부와 제도적 보완 방향에 따라, 이 쿠폰이 단기 경기부양책을 넘어 민생 경제의 새로운 기반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근본은 고용률과 기업 투자"라며 "이번 민생지원금은 일부 소상공인 매출에 도움이 되는 거지 경제 활성화랑 거리가 있다. 돈을 쓰려면 근본적으로 소득이 있어야 하고 소득을 늘리려면 기업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기적 민생지원금이 경제 활성화 효과를 낼 지에는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