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업계, 경쟁력 약화 불안에 국정과제 제안

시사위크
28일 고명수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장(KMVNO)은 시사위크와의 인터뷰에서 국정과제에 실질적인 알뜰폰 활성화 정책이 담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지난 2월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기자간담회에서 고명수 회장이 발언하는 모습. / 조윤찬 기자
28일 고명수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장(KMVNO)은 시사위크와의 인터뷰에서 국정과제에 실질적인 알뜰폰 활성화 정책이 담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지난 2월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기자간담회에서 고명수 회장이 발언하는 모습. / 조윤찬 기자

시사위크=조윤찬 기자  정부가 ‘단통법’ 폐지 이후 통신시장 상황을 분석하는 가운데, 알뜰폰 업계는 지원책이 부재해 경쟁력 하락을 근심하고 있다. 통신3사(SKT, KT, LGU+)는 유통망에서 지원금 경쟁이 활발한 상태다. 알뜰폰 업계는 정부 국정과제에 실질적인 알뜰폰 활성화 방안이 담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 고명수 회장 “자급제폰-알뜰폰 가입, 제조사 지원금 나와야”

28일 고명수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장(KMVNO)은 국정과제에 실질적인 알뜰폰 활성화 정책이 담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대선 공약에 ‘단통법’ 폐지에 따른 알뜰폰 및 자급제폰 활성화 추진 내용을 넣은 바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말 알뜰폰은 휴대폰(5,723만9,259회선) 가운데 17%(999만7,971회선) 비중을 차지했다. 5월 알뜰폰 회선수는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다. 그러나 7월 ‘단통법’ 폐지 계기로 벌어진 지원금 경쟁에 알뜰폰 회선은 감소할 가능성이 생겼다.

이날 기자가 서울에 위치한 통신사 대리점 현장을 방문하니 단말기 결합판매 및 번호이동(통신사 변경) 혜택에 대한 홍보가 활발했다. 한 SKT 대리점은 단말기를 구매하는 번호이동 가입자가 인터넷도 함께 가입하면 최대 120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KT, LG유플러스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대상으로는 복지할인을 홍보하며 번호이동을 권유하기도 했다. 통신사는 정부 정책으로 만 65세 이상의 기초연금을 받는 고객에 대한 복지할인도 제공한다.

고 회장은 △자급제폰-알뜰폰 가입 시 제조사 지원급 지급 △전파사용료 할인 △도매대가 사전규제 △중고폰 인증제도 활성화 등의 국정과제를 제안했다.

제조사 지원금에 대해 고 회장은 “제조사가 통신사에 단말기를 납품할 때 제조사 할인을 해준다”며 “이에 통신사는 할인하고 판매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긴다”고 말했다. 이어 “자급제폰을 구매하고 알뜰폰사에 가입하면 통신사 납품 때 만큼의 제조사 할인을 해줘야 한다. 알뜰폰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전파사용료, 20% 납부 지속… 도매대가 사전규제 전환”

고명수 KMVNO 회장은 △자급제폰-알뜰폰 가입 시 제조사 지원급 지급 △전파사용료 할인 △도매대가 사전규제 △중고폰 인증제도 활성화 등의 국정과제를 제안했다. /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고명수 KMVNO 회장은 △자급제폰-알뜰폰 가입 시 제조사 지원급 지급 △전파사용료 할인 △도매대가 사전규제 △중고폰 인증제도 활성화 등의 국정과제를 제안했다. /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통신3사의 마케팅 경쟁이 치열해졌지만 중소·중견 알뜰폰사들은 올해부터 전파사용료를 납부해야 한다. 앞서 전파사용료 면제는 알뜰폰 활성화 정책으로 사용됐다.

전파사용료 부담은 올해 20%, 2026년 50%, 2027년 100%로 확대될 예정이다. 알뜰폰 업계에 따르면 전파사용료는 10만 회선당 연간 4억5,000만원~5억원 수준이다. 대기업 계열 알뜰폰사는 2023년부터 전파사용료 100%를 냈다.

전파사용료는 통신3사도 납부하고 있다. 고 회장은 “알뜰폰사는 통신사에 망을 빌리며 도매대가를 내는데, 전파사용료를 내는 건 이중 부담인 부분”이라며 “전파사용료는 20% 납부 수준으로 지속하자, 추가 납부는 알뜰폰 경쟁력 상실로 이어진다”고 답했다.

알뜰폰사는 지난 3월부터 도매제공의무사업자인 SKT와 도매대가를 직접 협상해야 한다. 정부가 알뜰폰사 대신 도매대가를 협상해주는 사전규제는 일몰됐다.

고 회장은 “규모의 차이 등으로 알뜰폰사는 협상하는 데 불리하다”며 “소비자 요금을 인하하기 어려워지고 경쟁력을 잃게 될 수 있다. 사전규제 방식으로 원상복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 측은 도매대가 사전규제와 전파사용료 면제는 ‘단통법’ 폐지 이후 시장 상황을 분석하는 게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알뜰폰 업계, 경쟁력 약화 불안에 국정과제 제안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