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방금숙 기자] 풀무원은 글로벌 수준의 독립성과 실효성을 갖춘 이사회 운영을 통해 투명성과 책임경영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풀무원은 지난 2018년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자율 도입했다. 당시 법적 의무가 없는 비금융권 기업으로서는 이례적 선택이었다. 이후 사외이사 비중 확대, 정례 사외이사 단독 회의, 이사회사무국 신설 등 실질적 거버넌스 강화 조치를 이어왔다.
현재 풀무원 이사회의 약 70%가 사외이사로 구성돼 있으며, 3명의 여성 사외이사를 포함해 성별 다양성도 확보했다. 연간 3회 이상 운영되는 사외이사 단독 회의에서 논의된 사안은 정식 이사회 안건으로 연계되며, 이사회는 단순한 의결기구를 넘어 핵심 전략 논의와 경영진 감독 역할을 수행한다.
풀무원은 이사회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이사회사무국을 신설해 8명의 사외이사를 포함한 전반적 이사회 활동을 전담 지원하고 있다. 총괄CEO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전문경영인 체제도 안정적으로 출범시켰다.
주요 성과로는 △2019년 지배구조 및 CEO 보상체계 개편 △2021년 ‘Plant-Forward 전략’ 수립 △2022년 기업가치체계 정립 및 ‘풀무원지구식단’ 브랜드 론칭 △2023년 이사회 규정 개정 및 사무국 설치 △2024년 CEO 선임 및 보상위원회 중심의 투명한 보상체계 확립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보상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돼 CEO 성과 평가, 목표 수립, 보상안을 독립적으로 심의·결의함으로써 공정성을 높였다.
김영환 풀무원 선임사외이사는 “풀무원은 사외이사를 외부 감시자에 그치지 않고 전략적 의사결정의 중심에 세우고 있다”며 “글로벌 선진 거버넌스 수준의 이사회 구성과 운영뿐만 아니라 실효성 측면에서 국내 이사회 중심경영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식물성 식품, 글로벌 사업전략 등 기업 경영의 주요 아젠다를 이사회가 실질적으로 논의하는 풀무원의 지배구조는 국내외 투자자에게 높은 신뢰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경업 풀무원 이사회사무국 국장도 “이사회 중심의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경영은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중장기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핵심”이라며 “앞으로도 투명하고 책임 있는 지배구조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기업가치제고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