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이진숙 낙마할까… 고심 깊어지는 대통령실

시사위크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 뉴시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대통령실의 고심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모든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끝나는 시점까지 지켜보겠다는 입장이지만, 부정적 여론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어떤 결론을 내릴지에 관심이 집중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17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인사청문회는 아직 진행 중”이라며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될 때까지 모든 과정을 유의 깊게 살펴보고 상황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후보자에) 대한 특별한 입장을 내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후보자와 이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은 당사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끝난 이후에도 연일 이어지고 있다. ‘보좌진 갑질’ 의혹을 받는 강 후보자의 경우 인사청문회에서 쓰레기를 처리하라고 한 적 없다는 취지의 답변을 내놨지만, 이후 언론 보도를 통해 텔레그램 메시지 내용이 공개되면서 ‘거짓 해명’ 꼬리표까지 붙었다. 

‘보좌진 갑질’ 의혹이 불거졌을 때만 해도 여당은 ‘사실 확인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취해왔다. 하지만 해당 보좌진의 재취업을 방해했다거나 코로나19 당시 면회를 제한하는 병원 관계자들에게 ‘의원 신분’을 내세워 갑질을 했다는 의혹이 더해지면서 여당도 난처한 모양새다. 범여권 정당을 비롯해 시민단체들까지 일제히 강 후보자에 대한 비판에 나선 것도 문제다. 이 후보자 경우도 전문성과 도덕성 부족을 이유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진보성향 교육단체에서도 사퇴 요구가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4차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4차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 뉴시스

◇ 청문회 마무리 후 결정 내릴 듯

이런 가운데 대통령실 내부 기류가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로 모였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다만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일부 언론의 보도는 사실과 다름으로 바로 잡는다”며 “대통령실은 기존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도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어떤 관계자가 어떤 발언을 했든 현재로서는 개인 의견”이라고 선을 그었다.

일단은 원론적 입장을 유지했지만, 이 대통령의 고민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두 후보자의 경우 이 대통령이 후보 시절 언급한 ‘여성 할당 원칙’을 적용했다는 점도 결정의 어려움을 더하는 요인으로 보인다. 지난 11일 이 대통령을 만난 정규재 전 한국경제 주필은 지난 15일 채널A 라디오쇼 ‘정치시그널’에 출연해 “대통령께서는 ‘여성 후보자들의 풀 자체가 협소한 것 같다. 많았으면 다양하게 선택이 가능할 텐데’ 이런 이야기를 하셨다”고 했다. 새로운 여성 후보자를 찾는 것이 여의치 않다는 의미인 셈이다. 

그렇다고 이들의 인선을 무리하게 강행하기엔 싸늘해진 여론의 역풍을 생각하지 않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초대 내각 인선부터 불거진 잡음이 결과적으로 국정 동력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다 보니 정치권에서는 두 후보자가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평가가 나오지만, 이러한 결단을 내릴지는 미지수다. 이 후보자는 전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다수의 교수 집단이 지지 성명을 냈다”며 자진 사퇴를 거부했다.

이 대통령은 일단 모든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되는 18일 이후 종합적 상황을 보고 받은 뒤 이들의 임명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금요일 이후 대통령께 전체적 상황을 종합 보고할 계획”이라며 “보고할 때 대통령께서 어떤 지침을 주실지는 지금 예측하긴 어렵다”고 했다. 이어 “어쨌든 다양한 통로를 통해 여러 여론을 청취하고 계시고, 실제로 청문회 과정에서 나왔던 여러 쟁점에 대해서도 일일 보고를 통해 상황을 잘 파악하고 계시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강선우·이진숙 낙마할까… 고심 깊어지는 대통령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