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2023년 7월 15일 벌어진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맞아 이재명 대통령이 사고 현장을 찾아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나선 가운데, 정작 참사의 직간접 책임자인 김영환 충북지사가 자신이 선포한 추모주간에 술자리를 가진 사실이 드러나 도마에 올랐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충북 청주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를 방문해 참사 당시의 대응 문제를 지적하며 "공직자는 실수하지 않는 것이 의무"라고 일갈했다.
이 대통령은 재난예방 시스템 전반을 점검하며 "관리 부실로 인한 인명 사고에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장에서는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감시 체계와 자동 차단 시스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역할 분담 등에 대한 구체적인 질의가 이어졌다.
반면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참사 추모주간이 진행 중이던 12일 저녁 김현기 청주시의회 의장 등 청주시의원 4명과 술자리를 가진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이는 참석자 중 한 명이 단체 대화방에 회식 사진을 올리면서 알려졌고 테이블 위에 놓인 술병들과 김 지사가 술잔을 들고 있는 모습이 고스란히 포착됐다.
문제는 김 지사가 추모 분위기 조성을 위해 "음주·유흥 자제"를 직접 요청한 당사자라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 충북도는 "청주 돔구장 등 도정 현안 협의를 위한 자리였으며 김 지사가 맥주 한두 잔을 마신 것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시민사회의 반응은 싸늘하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는 "도민에게 경건한 마음을 호소한 사람이 정작 회식을 했다는 것은 부적절하며 유감"이라고 지적했다.
오송참사시민대책위도 성명을 통해 "유가족과 생존자들이 여전히 고통 속에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김 지사의 행동은 스스로의 선언을 짓밟은 것"이라며 공개 사과를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충북도당도 "참사 책임자였던 김 지사가 불콰한 얼굴로 협조를 구했다는 해명은 구차하다"며 "즉시 유가족과 도민 앞에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구조적·시스템적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며 재정 지원뿐 아니라 '작동 점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대통령이 직접 현장을 뛰는 상황에서 참사의 책임을 져야 할 지자체 수장이 경건한 추모의 순간조차 지키지 못했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