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대전환'에 1793억원 투입…2차 추경 본회의 의결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정부가 인공지능(AI)을 통한 공공서비스 혁신과 산업 고도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총 1793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투입한다. 정보보호 체계 강화와 AI 인재 양성 등 국민 체감도 제고를 위한 사업도 함께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지난 4일 국회 본회의에서 AI 분야 제2회 추경예산안이 최종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은 'AI 전환(AX)'을 핵심 키워드로, 산업·공공·민생 전반에 인공지능을 접목해 체감형 혁신을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공공·의료·제조 혁신 본격화

우선 과기정통부는 총 656억원을 투입해 공공·의료·제조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AI 대전환'을 본격화한다.

공공부문에서 AI를 활용하는 '공공 AI 전환 프로젝트'에 150억원, AI 기반 질병 예후 관리 서비스 개발과 제조업 AI 전환 플랫폼 구축에 각각 40억원을 지원한다.

자율주행차, 로봇, 드론 등 움직이는 기기에 AI를 결합하는 '피지컬 AI' 핵심 기술 기술검증(PoC)에는 426억원을 책정했다.

특히 공공AX 프로젝트는 AI 솔루션을 필요로 하는 부처와 민간기업이 협력해 수요 기반 솔루션을 공동 개발·실증하는 방식이다. 개발된 솔루션은 추후 해당 부처를 통해 현장 도입 및 확산을 추진한다.

또한 피지컬AI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데이터 수집체계 및 모델 설계 기반 조성도 함께 진행된다.

◆AI혁신펀드 500억원 추가…AI반도체 상용화 지원도 지속

AI 산업 생태계 육성에도 투자가 강화된다. 정부는 기존 1000억원 규모 AI혁신펀드에 더해 500억원을 추가 조성해 초기 창업기업과 유망 AI 기업에 대한 민간 투자를 촉진한다.

아울러 국산 AI반도체(NPU) 조기 상용화를 위해 1차 추경(494억원)에 이어 2차 추경에도 관련 예산(300억원)이 포함됐다. 최신 AI모델과의 호환성 확보 및 설계 IP 활용 등을 지원해 제품 완성도와 시장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정보보호·디지털 포용 강화…AI기반 사이버 대응 체계 구축

이번 추경에는 정보보호 강화와 디지털 포용 확대를 위한 예산도 포함됐다.

△국가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 고위험 취약점 관리체계 구축 및 특화 인증항목 개발(67.4억원) △생성형 AI 기반 사이버 침해사고 분석·대응 시스템 도입(50억원) △인터넷 경로 보안체계(RPKI) 구축(30억원) 등이다.

이밖에 전국 단위 'AI디지털배움터(66억원)'를 신설하고, 청년 대상 맞춤형 AI·SW 교육 확대(34억원) 등 취약계층 AI 역량 제고에도 예산을 배정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2회 추경은 공공과 산업, 민생 전반에서 인공지능이 실질적 혁신을 이끌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1차 추경에서 마련한 기반 인프라를 바탕으로 2차 추경을 통해 AI 대전환을 더욱 속도감 있게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정부 'AI 대전환'에 1793억원 투입…2차 추경 본회의 의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