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동학혁명 유족 수당 지급 놓고 갑론을박 ‘후끈’”입니다. 전북특별자치도가 추진하는 동학혁명 유족 수당 지급 방침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찬반 논쟁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
![]() |
▲지난 5월 10~11일 열린 제58회 동학농민혁명기념제 모습. / 정읍시 제공 |
1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는 내년부터 도내 거주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에게 수당을 지급할 계획이라며 매월 10만원 씩 지급할지, 연 단위로 30만~50만원을 지급할지 검토 중이라고 지난달 25일 밝혔다.
도의 이 같은 방침은 이는 지난해 9월 개정된 ‘전북특별자치도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른 후속 조치다.
수당 지급의 명목은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의 명예 회복이다. 연간 소요 예산은 10억9800만 원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유족의 범위는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자녀·손자녀(孫子女) 및 증손 자녀·고손 자녀다. 도는 도내 유족을 915명으로 파악하고 있다.
전주(302명)가 가장 많고 정읍 148명, 임실 107명, 익산 101명, 부안 62명, 김제 52명, 군산 43명 등 순이다.
앞서 정읍시는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2020년부터 동학농민혁명 유족에게 월 10만원의 수당을 주고 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