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8개 상실되면 사망 위험 10% ↑…보철 치료 시 생존률 향상"

마이데일리
제10회 틀니의 날 기념식. /헤일리온

[마이데일리 = 이호빈 기자] 치아가 적을수록 사망 위험이 높아지고, 틀니나 임플란트 같은 치아 보철 치료가 생존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통계가 발표됐다.

대한치과보철학회는 1일 ‘틀니의 날’ 제정 10주년을 맞아, 한국인의 치아 상실과 보철 치료가 건강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2007~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와 사망 원인 통계를 연계한 대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19세 이상 성인 5만1576명 중 만 60세 이상 고령자 1만4253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잔존 치아 수 감소가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폈다.

그 결과, 잔존 치아가 1개 줄어들 때마다 사망 위험이 약 1.2%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아가 4개 상실되면 사망 위험은 약 5%, 8개 상실되면 10%까지 높아지는 셈이다.

또한 잔존 치아 수에 따른 10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치아 28개 모두 남아있는 사람에 비해 상실된 치아가 많은 그룹일수록 생존율이 낮았고, 치아 수가 적을수록 이 경향은 뚜렷하게 나타났다.

잔존 치아가 20개 미만일 경우 사망 위험이 급격히 높아졌다. 20개 이상 보유한 경우와 비교해 20개 미만인 경우 10년 생존율은 14.9%, 15년 생존율은 21.5% 낮았다. 연구진은 잔존 치아 수 20개가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생존율을 가르는 중요한 분기점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치아를 상실하더라도 틀니나 임플란트 같은 보철 치료를 받으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잔존 치아가 0~20개 남아 있는 대상자 중 보철 치료를 받은 그룹은 치료를 받지 않은 그룹보다 사망 위험이 15.5% 낮았다. 연구진은 “고정성 보철, 부분 틀니, 완전 틀니 등의 보철 치료가 고령자의 생존율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한치과보철학회는 “이번 연구는 한국인의 치아 상실이 수명에 미치는 영향과 보철 치료의 생존율 기여도를 과학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잔존 치아 수와 사망 위험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틀니·크라운·임플란트 같은 보철 치료가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치아 8개 상실되면 사망 위험 10% ↑…보철 치료 시 생존률 향상"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