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조윤찬 기자 KT가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 기반 B2B(기업 대상) 보안 서비스 강화로 기업의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겠다고 14일 밝혔다.
KT는 대표 서비스형 보안 상품으로 ‘클린존’과 ‘AI메일보안’을 운영하고 있다. 이 서비스들은 추가 장비 설치나 IT 인프라 변경 없이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클린존은 DDoS(디도스) 공격이 발생하면 유해 트래픽은 차단하고 정상 트래픽만 기업의 서버로 전달해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원한다. 대규모 트래픽을 동반한 디도스 공격이 발생하면 KT 코넷의 백본 라우터에서 고객사의 트래픽을 우회한다. 이후 클린존 차단시스템에서 비정상 트래픽을 차단하고 정상 트래픽만 기업에게 전송하는 방식이다.
KT는 고도화된 해킹 공격 추세에 대비하기 위해 클린존의 방어 용량을 기존 대비 2배 이상 증설할 계획이다. 디도스 공격 탐지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고객 전용 모니터링 대시보드도 3분기 내에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AI메일보안은 이메일을 통한 스팸메일, 피싱, 랜섬웨어 등 다양한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기업의 중요 정보를 보호한다. 기업 임직원이 수신한 메일의 발신자, 첨부파일, 본문 내 URL 등을 AI를 기반으로 분석해 사이버 공격 여부를 실시간 판단하고 사이버 공격일 경우 차단하는 방식이다.
KT는 3분기 내에 AI메일보안에 AI LLM(거대언어모델)을 접목해 위협메일 차단 리포트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AI 어시스턴트에게 AI 탐지내용 요약 등을 물으면 AI가 탐지한 공격의 위험도, 중요도, 조치 필요사항 등이 포함된 상세 분석 결과를 받을 수 있다.
AI메일보안은 KT 자체 개발 알고리즘으로 위협을 탐지하고 차단한다. KT는 하루 평균 60만건의 데이터를 분석하며 실시간으로 새로운 위협 패턴을 학습한다고 설명했다.
KT는 별도 장비 설치 등 보안 인프라 구축이 어려운 기업부터 공공기관까지 다양한 산업군 대상 보안 서비스 적용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