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삼성전자의 멈췄던 대형 인수합병(M&A)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최근 자회사 하만을 통한 8년 만에 M&A 신호탄을 쏘아올린 삼성전자는 글로벌 공조시장 본격 진출을 알렸다.
삼성전자가 독일에 본사를 둔 유럽 최대 규모의 냉난방공조 기업 '플랙트그룹'을 15억 유로(약 2조 4000억 원)에 인수한다고 14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영국계 사모펀드 트라이튼이 보유한 플랙트 지분 100%를 15억 유로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플랙트는 100년 이상 축적된 기술력을 가진 공조기기 업체로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 시설에 특화된 공조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수많은 인공지능(AI) 서버가 동작하는 데이터센터는 발열량이 막대하기 때문에 냉각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플랙트는 냉각액을 순환시켜 서버를 냉각하는 액체냉각 방식인 CDU(Coolant Distribution Unit)에서는 업계 최고 수준의 냉각용량, 냉각효율의 제품군을 확보했다.
플랙트는 그동안 ▲안정적 냉방이 필수인 대형 데이터센터 ▲민감한 고서·유물을 관리하는 박물관·도서관 ▲유동인구가 많은 공항·터미널 ▲항균·항온·항습이 중요한 대형 병원 등 다양한 시설에 고품질·고효율 공조 설비를 공급해왔다.
공조사업은 지구온난화, 친환경 에너지 규제 등으로 글로벌 수요가 늘고 있다. 공조사업 중 공항, 쇼핑몰, 공장 등 대형 시설 대상 중앙공조 시장은 2024년 610억달러에서 2030년 990억 달러로 연평균 8% 성장이 예상된다. 이 중 데이터센터 부문은 2030년까지 441억달러 규모로 연평균 18%의 높은 성장률로 공조 시장을 이끌 전망이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생성형 AI·로봇·자율주행·XR 등의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고성장하는 공조사업을 성장동력으로 결정하고 이번 인수를 결정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기존 가정과 상업용 시스템에어컨 중심 개별공조 사업에서 산업용 중앙공조 영역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게 됐다.

삼성전자의 조단위 인수합병(M&A) 성사는 전장·오디오 자회사 하만 인수 작업이 완료된 2017년 이후 9년 만이다. 그간 삼성전자는 매년 주주총회 등에서 꾸준히 M&A를 통한 사업 확장방침을 언급해왔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로봇), 옥스퍼트 시멘틱 테크놀로지스(AI), 소니오(메드텍), 룬·마시모 오디오사업부(오디오·전장) 등 소규모 인수를 이어왔다. 이후 삼성전자는 7일 하만 인터내셔널을 통해 5000억원 규모의 미국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 인수를 결정했다.
이번 빅딜은 삼성전자가 하만을 통해 9년 만에 이뤄진 조단위 M&A직후 이뤄진 만큼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재용 회장은 2022년 10월28일 공식적으로 삼성전자 회장에 올랐지만 각종 사법 리스크에 시달리며 미래 신사업을 키우기 위한 투자 활동에는 소극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최근 삼성전자가 연이은 M&A를 통해 적극적인 미래 먹거리 선점에 나서고 있는 만큼 공조, 로봇, 전장·오디오 등 비주력 분야를 새로운 성장 축으로 본격 육성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노태문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은 "삼성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등에 수요가 큰 중앙공조 전문업체 플랙트를 인수하며 글로벌 종합공조 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공조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지속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